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홍익한 / 洪翼漢 [종교·철학/유학]

    1586(선조 19)∼1637(인조 15). 조선 후기의 문신. 숙의 현손, 서주의 증손, 할아버지는 애, 아버지는 이성, 어머니는 김림의 딸이다. 백부인 교위 대성에게 입양되었다. 이정구의 문인이다. 1624년(인조 2) 정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한 뒤 사서를 거쳐,

  • 홍인한 / 洪麟漢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2∼1776). 예조판서·우의정·좌의정 등을 지냈다. 세손(정조)과 사이가 나빠 다른 풍산홍씨들이 세손을 보호하는 시파에 가담한 것과는 달리 세손 즉위를 반대하는 벽파에 가담했다. 정조 등극 후 유배, 위리안치 된 후 사사되었다.

  • 홍일순 / 洪一純 [종교·철학/유학]

    1804년(순조 4)∼1856년(철종 7). 부친은 홍우필이다.《매산집》에 의하면 1818년(순조 18)에 매산 홍직필의 양자가 되었다.《일성록》에 의하면, 1845년(헌종 11) 1월 3일에 초사로 가감역에 제수되었고 1848년(헌종 14)에 과천현감을 지냈다. 조

  • 홍장 / 紅粧 [문학/한문학]

    조선전기 강원도안렴사 박신과 관련된 기녀. 시조작가로서 그녀가 지은 시조 1수가 전한다. 박신(朴信)이 강원도안렴사로 갔을 때 그녀를 사랑하여 아주 깊이 정이 들었는데, 임기가 끝나 서울로 돌아갈 때 강릉부윤으로 있던 조운흘(趙云仡)이 “홍장은 이미 죽었다.”고 하고,

  • 홍장군전 / 紅將軍傳 [문학/고전산문]

    이해조(李海朝)가 지은 역사소설.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은 1926년 광학서포(廣學書鋪)에서 출간한 「홍장군전 상·하(洪將軍傳 上下)」이다. 그러나 오거서창(五車書廠) 재판본 「화의 혈」의 광고문에 실린 「홍장군전」과 「한씨보응록」의 두 소설은 이해조가 특별히 편집하였다

  • 홍장설화 / 紅粧說話 [문학/구비문학]

    고려 말 조선 초의 명기 홍장(紅粧)에 관한 설화. 안렴사 박신(朴信), 조운흘(趙云仡)과의 일화를 남기고 있다. 방해정(放海亭) 앞에 ‘이가원(李家園)’이라고 새겨진 바위를 홍장암(紅粧巖)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조운흘이 부기 홍장을 아끼고 추모하는 마음에서 붙인 이름

  • 홍재 / 洪梓 [종교·철학/유학]

    1707년(숙종 33)∼1781년(정조 5). 조선 후기의 문신. 구조의 아들이다. 1753년(영조 29) 시직으로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1754년 정언·호남어사·부교리·부수찬을 역임하였다. 1756년 헌납, 1757년 수찬으로 문과중시에 을과로 급제, 보덕을 거

  • 홍재문 / 洪在文 [역사/근대사]

    1897-1958. 독립운동가. 경상남도 밀양 출신. 1919년 3월 11일 부산 일신여학교(日新女學校) 학생들의 의거는 경상남도 지방에서도 항쟁의 계기를 만들어 주었고, 또 이 고장의 자주독립의 항일의식을 더 한층 높여주었다. 당시 부산공립보통학교 교사로 있던 중

  • 홍재의 / 洪在義 [역사/근대사]

    1886-1961.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다른 이름은 홍기숙(洪奇淑)이다. 본적은 경기도 안성(安城)이다. 1919년 4월 1일 경기도 안성의 양성면(陽城面)과 원곡면(元谷面) 일대에서 시행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이 운동은 이유석(李裕奭)·최은식(崔殷植)·

  • 홍재전서 / 弘齋全書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정조의 시문집. 184권 100책. 활자본. 1차 편찬은 1799년(정조 23) 규장각직제학 서호수가 주가 되어 어제회수법을 정하고 의례를 세운 후, 편차를 나누어 이만수·김조순·이재수 등과 함께 편찬하였다. 서영보에게 잇게 하여, 총 190편을 완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