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홍애유고 / 洪崖遺稿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문신 홍간의 시 「동래잡시 」·「난부인」·「고안행」등을 수록하여 1629년에 간행한 시집. 1책. 목판본. 10대손 방(霶)이 『동문선』·『청구풍아 靑丘風雅』·『대동시림 大東詩林』·『삼한시귀감 三韓詩龜鑑』 등에 수록되어 전하는 시편들을 초출하여 1629년(인조
홍약루시초집 / 紅藥樓詩初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김석준의 시 22수를 수록하여 1865년에 간행한 시집. 1책. 중국신활자본. 조선 후기에 성행된 악부체(樂府體) 및 죽지사 계통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특히 이언진의 「동호거실(衕衚居室)」이나 이상적(李尙迪)의 「일본잡사칠절(日本雜事七絶)」을 잇
홍약루회인시록 / 紅藥樓懷人詩錄 [언론·출판]
저자 김석준(1831-1915). 금속활자본. 2권 1책. 책의 구성은 상하권으로 나뉘어져 있다. 상권에는 권돈인, 조두순부터 최성학, 이용림까지 19세기의 문인 63인과 승려 1인과 여성 1인 등 우리나라 인물 총65인을 수록하였다. 하권에는 연행에서 만나 교유를 맺
홍양기사 / 洪陽紀事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잡사류(雜史類) 임한주(林翰周) 저, 신연활자본, 미상 불분권 1책(32장). 임한주가 홍주(洪州)의 을미의병(乙未義兵) 등 항일 의병 활동에 대해 기록한 책이다.
홍양명 / 洪陽明 [역사/근대사]
1896-1950. 일제강점기 항일운동가·언론인. 본명은 홍순기(洪淳起)이다. 본관은 남양(南陽)이며, 제주도 제주시(濟州市) 삼도동(三徒洞)에서 태어났다. 조부는 정의현감(旌義縣監)을 역임했던 홍재진(洪在晋)이고, 아버지는 홍종언(洪鍾彦)이다. 독립운동에 뜻을 두고
홍양호 / 洪良浩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4∼1802). 1752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사헌부 지평, 홍문관 수찬·교리 등을 거쳤고, 1774년 등준시에 뽑히기도 하였다. 두 차례에 걸쳐 연경을 다녀오면서 중국의 석학들과 교유하여 문명을 날렸으며, 고증학을 수용, 보급하는 데
홍언 / 洪焉 [역사/근대사]
1880-1951.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명은 홍종표(洪宗杓)이다. 출신지는 서울이다. 1904년(광무 8) 중국에서 귀국한 후, 미국 하와이로 이민을 떠났다. 1906년(광무 10) 하와이 막가월리 농장에서 송건(宋建) 등과 함께 자강회(自强會)를 조직하였다.
홍언국 / 洪彦國 [종교·철학/유학]
생졸년 미상. 아버지는 홍귀달, 형은 홍언충이다. 1495년(연산군 1) 을묘 증광시 생원 2등 20위로 합격하였다. 1506년 중종반정으로 석방되어 고향에서 학문 연구와 후진의 양성에 전념하였다. 후에 참봉에 임명되었으나 사임하였다. 명필로 이름이 있었으며, 작품으로
홍언방 / 洪彦邦 [종교·철학/유학]
생졸년 미상. 조선 중기 문신. 증조는 홍득우, 조부는 홍효손이다. 부친 홍귀달과 모친 김숙정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형은 홍언충이다. 1502년(연산군 8) 알성시 문과에서 3등 1위로 급제하였다. 홍문관박사, 언양현감을 역임하였다.
홍언충 / 洪彦忠 [종교·철학/유학]
1473(성종 4)∼1508(중종 3). 조선 중기의 문신. 득우의 증손, 할아버지는 효손, 아버지는 귀달, 어머니는 김숙정의 딸이다. 1495년(연산군 1) 사마시에 합격, 그 해에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승문원부정자. 정자·저작·박사 등을 역임하였다. 그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