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홍소원산 / 紅素圓傘 [정치·법제/법제·행정]

    대한제국 시기 황후 의장으로 사용된 우산. 제도는 일산과 같은데, 홍화화주로 3개의 처마를 만든다. 덮개의 길이는 일산에 비해서 짧은 편이며, 유소는 드리우지 않는다. 산의 총 길이는 4자 2치 5푼이다. 자루 및 호로를 합한 길이는 1장 1자 2촌 9푼이다. 189

  • 홍수보 / 洪秀輔 [종교·철학/유학]

    1723년(경종 3)∼1800.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홍주문, 조부는 홍만기이다. 부친은 홍중효, 생부는 홍중후이다. 1756년(영조 32)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62년(영조 38) 승지로 재직 중 영조의 명을 받아 예문관 현판을 써 붙였다. 그 후 강

  • 홍수산 / 紅繡傘 [정치·법제/법제·행정]

    대한제국 시기 황후 의장으로 사용된 기물. 제도는 일산과 같은데, 운문의 홍화화주로 3개의 처마를 만든다. 맨 윗 처마에는 운봉문을, 아래 두 처마에는 서초문을 그린다. 덮개의 길이는 일산에 비해서 짧은 편이며, 유소는 드리우지 않는다. 산의 총 길이는 4자 2치 5

  • 홍수설화 / 洪水說話 [문학/구비문학]

    홍수를 소재로 한 설화. 한국의 홍수설화도 위와 같은 세계적인 광포성(廣布性)과 한국적인 특수성을 동시에 지닌다. 그런데 그 동안 한국의 홍수설화는 세계에 소개된 바가 없다. 한국의 홍수에 관한 지명전설은 다른 전설보다 월등히 많아 한반도에 700곳이 있을 정도이다.

  • 홍수주 / 洪受疇 [종교·철학/유학]

    1642(인조 20)∼1704(숙종 30). 조선 후기의 선비화가. 처윤 아들이다. 1682년(숙종 8) 문과에 급제, 벼슬은 승지·충청도관찰사·대사간 등을 거쳐 예조참의에 이르렀다. 1695년 동지사행의 부사로 중국에 다녀왔다. 유작으로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묵매

  • 홍수치방선 / 紅繡雉方扇 [정치·법제/법제·행정]

    대한제국 시기 황후 의장으로 사용된 기물. 붉은 민무늬 비단 위에 꿩 문양을 수놓아 만든 위가 둥근 장방형의 부채. 부채 및 자루의 길이는 1장 1자 2촌이다. 전면에는 중앙에 난봉화문 그리고, 뒤쪽에는 청화화주에 금으로 꽃 문양을 그린다. 전면의 풍의는 백화화주로

  • 홍순갑 / 洪淳甲 [역사/근대사]

    1896-1929. 독립운동가. 호는 우당(愚堂). 전라북도 익산 출신. 1919년 일본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 재학 중 3·1 운동이 일어나자, 귀국하여 이상재(李商在) 지도 아래 독립운동에 참가하였다. 1921년에 붙잡혀 징역 1년을 선고받았으며, 출옥 후 중국

  • 홍순녕 / 洪淳寧 [교육/교육]

    1887-1949년. 일제강점기 교육자. 호는 남농(南農)이다. 1910년(융희 4) 4월 공립(公立) 수원농림학교(水原農林學校)를 졸업한 뒤 제주(濟州)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중등교사(中等敎師)가 되어, 1912년 5월 공립 제주농업학교(濟州農業學校)에 교사로 발령받

  • 홍순목 / 洪淳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6∼1884). 갑신정변을 일으킨 영식의 아버지이다. 1844년(헌종 10) 증광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 지평·수찬을 지내고, 1846년 초계문신에 뽑혔다. 1863년 대사헌이 되었으며, 1872년 영의정을 거쳐 영돈령부사가 되었다. 1876년

  • 홍순범 / 洪順範 [역사/근대사]

    생몰년 미상.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만주(滿洲)로 이주하여 활동하였다. 1919년 27결사대(決死隊)에 가담하여 이탁(李鐸)의 주도로 김병수(金炳洙)·김용우(金容友)·나경호(羅景鎬)·노윤선(盧胤善)·박기제(朴基濟)·박기한(朴基寒)·박진태(朴鎭台)·송동호(宋東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