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3,38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 연기향교 / 燕岐鄕校 [교육/교육]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교촌3길에 있는 향교. 1416년(태종 16)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865년(고종 2)에 명륜당을 중수하고, 1887년에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1901년에 전사청(典祀廳), 193

  • 연례 / 燕禮 [종교·철학/유학]

    조정에서 군신 상하간의 친목을 도모하면서 그 구분을 분명히 하는 잔치 의식. 참가 범위는 연회의 규모에 따라 다르다. 그 규모는 세 가지로 대연(大宴)·중연(中宴)·소연(小宴)이 있다. 대연은 국가의 큰 경사가 있을 때 이루어지는 행사로 문무의 제신과 종친(宗親)·비빈

  • 연분구등법 / 年分九等法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농작의 풍흉을 9등급으로 구분하여 수세의 단위로 편성한 기준. 연분등제의 실상은 15세기 말까지는 현지 수령·관찰사의 보고보다도 중앙에서 가등하여 세수 증대가 상례, 이는 외방 향리나 수령이 낮은 책정을 염려한 때문이었다. 이후 16세기 후기에 가서는 이윽고

  • 연서 / 連書 [언어/언어·문자]

    훈민정음에서의 글자 운용법의 하나. 초성자를 위아래로 이어쓰는 것을 말한다. 특히, 순경음(脣輕音)을 나타내기 위하여 순음자 밑에 ‘ㅇ’을 이어 쓴 것이다. 언해에서는 “니 쓰다”로 되어 있다.

  • 연시조 / 聯時調 [문학/고전시가]

    현대시조 유형의 하나.연장체(聯章體) 단가(短歌)의 전통을 현대시조(現代時調) 창작에 접목한 데서 발생. 연시조가 계승할 만한 대엽 유형의 연장체 단가는 다양한 형태가 있었다. 일반적인 예로는, 4시(四時)·9곡(九曲) 등의 경물(景物) 및 5륜(五倫)·5우(五友) 등

  • 연안향교 / 延安鄕校 [교육/교육]

    황해도 연백군(현재의 황해남도 연안군) 연안읍 연성리에 있는 향교. 1394년(태조 3)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그뒤 성의 남쪽과 동쪽 등으로 이건하였다가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704년(숙종 30)에 부사

  • 연재 / 鍊才 [정치·법제/국방]

    군사들에게 무예의 능숙을 권장하기 위하여 평소에 단련한 것을 시험. 연재는 내금위·별시위·친군위·갑사 등의 특수병종과 정병·수군의 기간병종에도 시행하는 것으로 그 성적에 따라 승진과 파출이 결정되었다. 당초 수시로 행하여지던 연재는 세종대에 이르러 정기적으로 하번시에

  • 연정가사 / 戀情歌辭 [문학/고전시가]

    남녀가 서로 그리워하고 사랑하는 마음을 담은 한국 시가의 한 양식. 조선조 가사 중에서 이성을 간절히 그리워하거나 사모하는 내용으로 2율각(律刻, dimeter)이 1구를 이루는 일련의 작품군을 가리킨다. 연정가사는 조선 전기부터 형성되었으며, 조선 후기에 이르러 왕성

  • 연정사 / 蓮亭詞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필사본. 모두 78구. 내용은 작자가 벼슬에서 물러난 뒤 국가의 휴척(休戚))을 세상에 맡겨두고, 강산풍월(江山風月)과 지당(池塘)의 연꽃을 벗삼아 강호에 한거하는 생활을 읊은 것이다. 특히, 창 앞에 연못을 만들고 거기에 연꽃을 심어 이를 완

  • 연제 / 練祭 [사회/가족]

    아버지 생전에 죽은 어머니 소상(小祥) 형식을 11개월 만에 치르는 일. 오복제(五服制)에 따르면 아버지상에는 참최(斬衰) 3년으로 되어 있지만 아버지는 살아 있고 어머니가 먼저 죽었을 때는 자최장기(齊衰杖朞)라 하여 1년상을 지내게 된다. 그러나 1년 안에 대상(大祥

페이지 / 33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