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홍명희 / 洪命熹 [문학/현대문학]
1888-?. 항일기의 소설가·언론인·사회운동가·정치가. 일본에 유학하여 다이세이중학을 졸업하고, 경술국치 직후에 귀국하여 오산학교·휘문학교 등에서 교편을 잡았다. 1927년 시대일보사 사장으로 재직하면서 신간회 창립에 관여하여 그 부회장으로 선임되었고, 1930년
홍무정운역훈 권3~16 / 洪武正韻譯訓卷三~十六 [언어/언어/문자]
한자음을 정확히 나타내기 위하여 편찬한 한글주음운서. 보물 제417호. 편찬목적은, 첫째 정확한 중국발음을 쉽게 습득하고, 둘째 속음의 현실성을 불가부지한 것으로 보고 이를 표시하였으며, 셋째 『홍무정운』을 중국표준음으로 정하고자 한 것이며, 넷째 세종의 어문정책 전
홍문관 / 弘文館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궁중의 경서·사적관리와 문한 처리, 왕의 각종 자문에 응하는 일을 관장하던 관서. 1463년(세조 9) 양성지의 건의에 따라 장서각을 홍문관이라 했는데, 이 때의 홍문관은 장서기관이었다. 학술·언론기관으로서의 홍문관은 1478년(성종 9)에 비로소 성립하였다
홍문대기 / 紅門大旗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시대 의장기의 하나. 적색 바탕에 청룡과 청ㆍ적ㆍ황ㆍ백색의 네 가지 채색으로 구름무늬를 그렸고 화염각과 기각을 달았으며, 대가 노부ㆍ법가노부 때 맨 앞에 섰다. 기바탕과 화염각 및 영자는 홍주로, 깃은 흑주, 자루는 중죽을 쓴다.
홍백화전 / 紅白花傳 [언론·출판]
저자 미상. 필사본. 책의 구성은 2권 1책으로 상하가 합본되어 있다. <홍백화전>은 비평본으로 본문 가운데 평점을 표기하고 123개가 비평이 본문 중간 중간에 협비 형태로 가해져 있다. 다만, 12면과 103면, 152면에 주쌍행으로 쓰인 것은 비평이 아니라 본문
홍범도 / 洪範圖 [역사/근대사]
1868-1943. 항일기의 독립운동가. 항일전에서 수차례 적군을 격파, 경술국치 후 간도의 대한독립군 총사령관이 됐다. 봉오동전투와 제1연대장으로 청산리전투에 참전했다. 대한독립군단 부총재로 활약, 고려혁명군관학교를 세웠다.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됐다.
홍병기 / 洪秉箕 [역사/근대사]
1869-1949. 항일기의 독립운동가. 호는 인암(仁菴). 천도교인으로 동학농민운동에 가담 후 교세확장과 구국운동에 힘썼다. 3·1운동 때 독립선언서에 민족대표로 서명, 옥고를 치른 후 만주로 망명해 고려혁명당의 고문으로 활약하다 재복역했다.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
홍병수 / 洪秉壽 [종교·철학/유학]
1807년(순조 7)~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홍응운, 조부는 홍경안, 부친은 홍학연이다. 외조부는 이의강, 처부는 신순이다. 1847년(헌종 13) 정시에 병과 2위로 문과 급제하였다. 관직은 도청부사과‧양주목사‧이조참의‧예방승지 등을 역임하였으며, 품계는 통
홍병찬 / 洪秉纘 [종교·철학/유학]
생물년 미상.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홍종하, 어머니는 백주진의 딸이다. 1777년(정조 1) 대사간에 올랐고, 1780년 홍충도관찰사에 파견되었다. 이어 황해도관찰사, 대사간, 한성부좌윤을 역임하였다. 1788년(정조 12) 비변사제조를 거쳐 개성부유수로 파
홍봉진 / 洪鳳珍 [역사/근대사]
1884-미상. 일제강점기 항일운동가. 본관은 남양(南陽)이고, 제주도 성산읍(城山邑) 오조리(吾照里)에서 출생하여 상업에 종사하고 있었다. 1927년 5월 16일 성산청년회가 주관한 제주 성산면 체육대회에서 씨름 대회가 열렸는데, 한국인 선원과 일본 선원, 일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