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사미율의 / 沙彌律儀 [종교·철학/불교]
승려의 계율에 관한 책. 명나라 주굉이 <사미십계법병위의>와 <사미위의><불설사미십계의측경> 등에서 중요한 내용을 발췌하여 편집한 책이다. 처음 승려가 된 사미가 지켜야 할 십계와 크고 작은 행동규칙을 서술한 책이다. 이 책은 우리나라 조선 중기 이후에 채택되어 여러
사방불신앙 / 四方佛信仰 [종교·철학/불교]
불교 신앙 형태의 하나. 동서남북의 사방위에 각각의 부처를 배당하고 신봉하는 신앙이다. 주로 신라에서 성행하여 신라의 유물, 유적에 상당수의 사방불이 남아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유사>에 나오는 <사불산>에 관한 언급이 사방불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현존하는
사변록 / 思辨錄 [종교·철학/유학]
박세당이 ≪대학≫·≪중용≫·≪논어≫·≪맹자≫·≪상서≫·≪시경≫을 주해한 책. 14책. 1책 ≪대학≫, 2책 ≪중용≫, 3책 ≪논어≫, 4·5책 ≪맹자≫, 6∼9책 ≪상서≫, 10∼14책 ≪시경≫ 등에 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이 중에서 가장 주력한 것은 사서에 관한
사서집 / 沙西集 [종교·철학/유학]
전식의 문집. 목판본, 서:이휘녕, 10권 5책. 1847년(현종13)에 7대손 전종한이 상주의 장노와 의논한 다음 각 서원에 통문을 띄워 재물을 모으는 한편 사우의 도움을 받아 문집을 편찬하였는데, 1862년(철종 13)에 이휘녕의 서문과 자신의 발문을 붙여 9권 5
사성례 / 四聖禮 [종교·철학/불교]
불교에서 아미타불의 극락정토에 왕생할 것을 발원하고 행하는 예경의식. 사성은 극락정토의 아미타불·관세음보살·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일체청정대해중보살(一切淸淨大海衆菩薩)로, 이 사성을 대상으로 행하는 예경의식이므로 사성례라 한다. 이들 사성에 석가모니불을 합하면 오성례가
사성제 / 四聖諦 [종교·철학/불교]
불교의 근본교리 가운데 하나. 불타가 성도한 이후 녹야원에서 다섯 명의 비구들에게 최초로 불법을 펼 때에 설한 가르침으로 가장 근본되는 진리이다. 고성제, 집성제, 멸성제, 도성제를 말한다. 제는 범어 'Satya'의 의역으로서 진리를 뜻한다. 성제는 성스러운 진리라는
사십구재 / 四十九齋 [종교·철학/불교]
불교에서 사람이 죽은 후 49일 동안 올리는 재. 사람이 죽은 날로부터 매 7일 째마다 7회에 걸쳐서 행해진다. 사람이 죽은 후 49일 동안은 중유, 중음이라 부르며, 죽은 뒤에 다음 생을 받을 때까지의 기간이다. 이 기간동안에 다음 생을 받을 연이 정해지므로, 죽은
사요 / 四要 [종교·철학/원불교]
원불교의 실천 덕목. 사은에 대한 보은의 구체적 방법이다. 자력양성, 지자본위, 타자녀교육, 공도자숭배를 말한다. 자력생활은 각자의 의무와 책임을 다하는 것이다. 지자본위는 항상 배울 줄 알아서 지식의 평등세계를 건설하자는 것이다. 타자녀교육은 교육평등의 세계를 건설하
사월초파일 / 四月初八日 [종교·철학/불교]
부처의 탄생일. 음력 4월 8일. 경과 논에는 부처의 생일이 2월 8일, 또는 4월 8일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것은 각각 다른 음력 계산법에 의한 기록인 셈이다. 그러나 옛부터 음력 4월 8일을 부처님 나신 날이라고 하여 기념하여 전통으로 굳어지게 되었다. 불교의 연
사인여천 / 事人如天 [종교·철학]
동학의 2대교주 최시형이 제시한 동학의 교리. 사람을 하늘처럼 섬기라는 가르침이다. 최시형은 '도인의 집에 사람이 오거든 사람이 왔다고 하지 말고 하느님이 강림하였다고 말하라'라고 하였고, "아이를 때리는 것은 곧 하늘을 때리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최시형의 사인여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