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신학월보 / 神學月報 [종교·철학/개신교]
개신교 신학잡지. 1900년 12월에 발간된 한국 최초의 신학잡지이다. 한국인 목회자와 평신도 지도자들을 훈련시키려는 목적을 가진 이 잡지에는 기초적인 신학논문과 성경공부의 자료 등이 실렸다. 이 잡지는 1910년까지 속간되다가 1916년 2월 <신학세계>가 발간되면서
신학지남 / 神學指南 [언론·출판/언론·방송]
1918년 3월 20일에 창간되어 국한문 4호로 내리 편집하여 계간으로 발행. 한국 장로회의 보수신학의 연구로 내용이 구성되어 있다.
신한민국정부 / 新韓民國政府 [역사/근대사]
1919년 3·1운동 직후 평안도 일대에서 설립이 추진되던 임시정부. 3·1운동 발발 직후 국내외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등장한 7개의 임시정부 가운데 하나로, 민주공화제를 정체로 표방하였다. 신한민국정부는 정부 수립의 정당성을 강조하면서 동양 평화를 계속 유지하며, 전쟁
신한촌 / 新韓村 [지리/인문지리]
일제강점기에 러시아 연해주의 블라디보스토크[海蔘威]에 자리잡고 있던 한인집단 거주지. 신한촌에서의 1910년대 초기 한인활동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것은 권업회(勸業會)의 항일민족운동이다. 권업회는 신한촌 건설과 같은 시기인 1911년 5월에 조직되어 1914년 9월까지
신한혁명당 / 新韓革命黨 [역사/근대사]
1915년에 중국 북경에서 조직된 우리나라 청년들의 항일독립운동 단체. 1912년에 결성된 중국 상하이 거주 한인들의 모임인 동제사(同濟社) 관계자 일부와 베이징과 상하이 거주 독립운동자들이 연합하여 결성한 단체이다. 이들의 목표는 중국, 독일과 우호관계를 맺음으로써
신헌 / 申櫶 [역사/근대사]
1810∼1884. 조선 후기의 무신·외교가. 정약용의 민간자위전법인 민보방위론을 계승, 발전시켜 《민보집설》·《융서촬요》등과 같은 병서를 저술, 자신의 국방론을 집대성시켰다. 현재 전하지는 않지만 《금석원류휘집》이라는 금석학관계의 저술,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제작
신현국 / 申鉉國 [종교·철학/유학]
1869년(고종 6)∼1949년. 근대의 학자. 아버지는 만균, 어머니는 이설서의 딸이다. 1876년(고종 13)에 외종조 이직서와 1881년에 곽정현에게 수학하였다. 뒤에 박세화를 사사하였다. 1905년에 스승 박세화가 을사늑약에 분개하여 거사하였다가 적에게 잡혀 투
신흥사 / 新興寺 [종교·철학/불교]
충청북도 충주시 엄정면 신만리에 있는 한국불교태고종에 속한 절. 1890년 오영근이 창건하였으며, 1905년 이영월(李泳月)이 중창하였다. 1920년에 주지 이영월의 꿈에 백의철불이 현몽하여 일러주는 대로 부근 절터를 파보니 종과 운판이 출토되었으며, 이 때 법당을 개
신흥선 / 新興線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 함흥시와 신흥군의 부전호반 사이에 부설된 철도. 길이 91.7㎞. 본래 함흥에서 송흥까지의 50.6㎞ 구간은 송흥선(松興線)이라 하여 이미 개통되었고, 1933년 9월 다시 송흥에서 부전호반까지 연결하여 신흥선이 되었다. 협궤철도이며 17개의 역으로 구성되어
신흥영화 / 新興映畵 [예술·체육/영화]
1932년 6월 창간된 영화전문지. 권두에 내외영화 및 극계 스타화보 6면과 본문 64쪽으로 꾸며져 있다. 발행인 겸 주간은 마춘서이다. 그는 창간사에서 "썩어가는 우리의 생명, 우리의 사상을 날고 달로 새롭게 하며 쇠퇴되어가는 우리의 생활, 우리의 인생관을 발흥시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