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헤이그특사사건 / 헤이그特使事件 [역사/근대사]
1907년 고종이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 특사를 파견해 일제에 의해 강제 체결된 을사조약의 불법성을 폭로하고 한국의 주권 회복을 열강에게 호소한 외교 활동. 회의 참석이 거부되자 우분울읍(懮憤鬱悒)하던 끝에 이준이 7월 14일 순국하게 되었다. 특사 일행은 만국평화회의가
혁련정 / 赫連挺 [문학/고전시가]
고려전기 장락전학사, 판제학원사 등을 역임한 학자.문인. 1075년(문종 29) 진사로서 광종 때의 고승 균여(均如)의 전기인 『대화엄수좌원통양중대사균여전(大華嚴首座圓通兩重大師均如傳)』을 썼다. 전중성(殿中省)의 내급사(內給事)로 있던 강유현(康惟顯)이 실제 사실 중심
현감 / 縣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최하위의 지방행정구역 단위였던 현의 종6품직 관직. 1413년(태종 13) 군현제 개편작업으로 설치하였는데 원래 그 전신은 고려 예종 이후부터 지방에 파견되었던 감무(監務)이다. 감은 동반 정·종6품의 관직명으로 태종 13년 10월에 종래의 감무를 현감(縣監
현경준 / 玄卿駿 [문학/현대문학]
1910-1951년. 일제 강점기 소설가. 아호는 금남(錦南)이고, 필명은 김향운(金鄕雲)이다. 출생지는 함경북도 명천(明川)이다.1920년 말 일본 유학을 하였다. 1934년 《조선일보》에 장편 소설 〈마음의 태양〉을 발표하면서 문단활동을 시작하였고, 〈젊은 꿈의
현곡정사 / 玄谷精舍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주곡리에 있는 정사.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57호. 이 마을에서 태어난 현곡 유영선이 학문을 연구하고 후학을 양성하기 위하여 1924년에 건립하였다고 한다. 지금은 간재와 현곡의 영정과 위패를 같이 봉안하고 있다. 이외에도 현곡정사 내에는 관리사
현궁 / 玄宮 [종교·철학/유학]
재궁을 안치하는 능 내부의 광중. 재궁을 안치하기 위한 구덩이이다. 현궁을 팔 때에는 바닥에 금정기를 설치하고 능상각 안쪽 정중앙에 끈을 매달고 현철을 달아서 중심을 맞추고 판다. 광의 깊이는 10척으로 규정되어 있으나 상황에 따라 변하였다. 너비는 대관[외재궁]보다
현금조선문전 / 現今朝鮮文典 [언어/언어/문자]
이규영(李奎榮)의 중등학교용 소문전. 내용은 제1편 글씨[文字], 제2편 씨[字], 제3편 월[文]의 3부로 된 초급용 기초문법이다. 주시경(周時經)의 맥을 이은 김두봉(金枓奉)의 ≪조선말본≫의 영향을 받았다. 제1편은 한글과 한자를 다루었는데, /ㅐ/와 /ㅔ/를 여전
현금포곡 / 玄琴抱曲 [문학/고전시가]
신라 경문왕 때 화랑인 요원랑(邀元郎)·예흔랑(譽昕郎)·숙종랑(叔宗郎) 등이 지은 가요. 금란굴(金蘭窟)에 놀면서 군주가 나라를 다스리는 길을 노래한 3편의 가요 중 하나로, 나머지 2편은 「대도곡(大道曲)」·「문군곡(問群曲)」이다. 가사는 전하지 않고, 노래의 내력만
현기 / 玄錡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희암시략』을 저술한 시인.여항시인. 본관은 천녕(川寧). 중인 가문으로 대대로 의과·역과·음양과 합격자를 많이 배출하였으며, 그 자신도 한어역과(漢語譯科)에 합격하였다. 어려서부터 비상한 재능을 보였는데, 12세 때 『통감강목(通鑑綱目)』을 배워 하루에 수백
현대 / 現代 [언론·출판/언론·방송]
1920년 1월 31일에 동경 조선기독교청년회에서 창간하여, 국한문으로 내리 편집한 격월간 잡지. 1920년 6월 18일 통권 6호로 폐간하고 1923년부터 「젊은이」로 변경하여 발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