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허정숙 / 許貞淑 [정치·법제/정치]
1908년∼1991년. 정치인. 서울 출생. 헌의 큰딸이다. 배화여자고등보통학교, 일본 간사이학원 영문학과 및 상해 외국어학원을 졸업, 동아일보사 기자로 근무하였다. 광복 후 평양으로 가서 1945년 북조선인민위원회 선전부장, 1946년 8월 북조선노농당 중앙위원회
허정집 / 虛靜集 [종교·철학/불교]
조선 후기 승려 법종의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1732년(영조 8) 묘향산 보현사에서 개간하였다. 권두에 김정대의 시, 권말에는 저자의 발문과 간기가 있다. 보우 등의 청에 의하여 개간되었다. 상권에는「산중사」·「유거사」·「허정가」 등 시 수백 수와 임종게 등이
허조 / 許稠 [종교·철학/유학]
1369(공민왕 18)∼1439(세종 21).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수 증손, 할아버지는 윤창, 아버지는 귀룡, 어머니는 이길의 딸이다. 권근의 문인이다. 1390년(공양왕 2) 식년문과에 급제해 전의시승이 되었다. 1392년 조선이 건국되자 좌보궐·봉상시승으로서
허주문집 / 虛舟文集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문인 김여욱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2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저자는 선조∼효종 연간의 사람이다. 『허주문집』은 1892년(고종 29) 김여욱의 후손 김복연(金福淵)과 김창희(金昌羲) 등이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연하(權璉夏)의 서문
허주와유고 / 虛舟窩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인 김석일의 시문집. 6권 2책. 필사본. 편집경위와 필사연대는 밝혀져 있지 않다. ≪허주와유고≫ 권1∼3은 시 621수, 권4는 제문 23편, 애사 4편, 행장 3편, 권5는 소 4편, 전 1편, 기 4편, 제후 3편, 잡저 5편, 책 1편, 권6은 부
허준 / 許浚 [과학기술/의약학]
허준(1539~1615). 조선 선조 때의 명의. 어의(御醫)로 있으면서 선조의 명으로 의서 편찬에 착수하여 1610년에 <동의보감> 25권을 완성하였으며, 각종 의서를 국역하였다.
허준설화 / 許浚說話 [문학/구비문학]
조선 중기의 명의 허준에 관한 인물 설화. 허준에 관한 기록이 실려 있는 문헌으로는 이희령(李希齡)의 『악파만록(樂坡漫錄)』과 유재건(劉在建)의 『이향견문록(里鄕見聞錄)』을 들 수 있다. 허준이 중국에 간 이유, 범을 고쳐 주고 받은 보배, 환자와 이물(異物)과의 관
허중환 / 許仲煥 [역사/근대사]
미상-1920년.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다른 이름은 그레고리 한(韓)이다. 만주(滿洲)로 이주하여 생활하면서 조국을 위해 목숨을 바치기로 결심하고 독립군(獨立軍)에 가담하였다. 1919년 독립만세운동이 국내 전국으로 확산되자 만주 일대에서도 활발히 전개되었다. 1
허천강수력발전소 / 虛川江水力發電所 [경제·산업/산업]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남도 허천군에 있는 설비용량 39만 4,000㎾의 발전소. 제1발전소를 함경남도 풍산군 공근리에 두고 있으며, 제2발전소는 허천군 고성리에, 제3발전소는 허천군 상농리에, 제4발전소는 허천군 고읍리에 각각 두고 있다. 1936년부터 1940년까지
허침 / 許琛 [종교·철학/유학]
1444(세종 26)∼1505(연산군 11).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비, 아버지는 손, 어머니는 최안선의 딸이다. 종의 동생이다. 1462년(세조 8) 진사시 합격, 1475년(성종 6) 참봉으로 친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감찰이 되었다. 1476년 채수 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