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신재효 / 申在孝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의 판소리 이론가·개작자·후원자. 전라북도 고창 출생. 아버지 신광흡(申光洽)은 경기도 고양 사람으로 한성부에서 직장(直長)을 지내다가 고창현의 경주인(京主人)을 하던 선대의 인연으로 고창에 내려와 관약방(官藥房)을 하여 재산을 모았다. 어머니는 경주 김씨로
신정심상소학 / 新訂尋常小學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유가류(儒家類) 학부편집국(學部編輯局) 편, 금속활자본(재주정리자), 1896년(건양 1), 1책(영본, 전3권 3책). 학부에서 1896년에 편간한 소학용교과서로 1895년에 편간된《심상소학(尋常小學)》을 신정(新訂)한 것이다. 국한문혼용본이다.
신찬조선어법 / 新撰朝鮮語法 [언어/언어/문자]
1922년 이규방(李奎昉)이 주시경(周時經)의 문법을 참조하여 펴낸 중등학교용 3부법 문법서. 김원우(金元祐)의 권두서와 자서에 의하면, 저자는 1910년경에 주시경으로부터 국어문법을 배우고, 평양에서 교편을 잡으면서 주시경의 ≪조선어문법 朝鮮語文法≫을 참조하여 191
신채호 / 申采浩 [정치·법제/정치]
항일기의 역사가·언론인·독립운동가(1880∼1936). 본관은 고령, 필명은 금협산인 등을 썼다. 어려서 전통 한학교육을 받아 성균관 박사가 되었으나 1905년 《황성신문》 기자가 된 이후로 여러 신문·잡지에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는 글을 썼다. 한말의 애국계몽운동과 일
신천군 / 信川郡 [지리/인문지리]
황해도 서북부에 위치한 군. 동쪽은 재령군, 서쪽은 송화군, 남쪽은 벽성군, 북쪽은 은율군·안악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5°10′∼127°05′, 북위 38°12′∼38°31′에 위치하며, 면적 791.7㎢, 인구 13만 7442명(1944년 현재)이다. 1개 읍
신체시 / 新體詩 [문학/현대문학]
개화기시가(開化期詩歌)의 한 유형으로 근대시에 이르는 과도기적 시가 형식. '신시(新詩)’라는 명칭과 함께 통용되어왔으며, 그 전대의 고시가(古詩歌)나 애국가 유형, 개화가사 및 창가에 대한 새로움의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신체시의 기점은 최남선의 <해에게서 소년에게>
신파극 / 新派劇 [예술·체육/연극]
일제강점기 신극사(新劇史)의 주류를 이루었던 연극 양식의 하나. 우리 나라의 신파극은 1911년 11월 임성구(林聖九)의 혁신단(革新團)에 의해 처음 공연되었다. 남대문 밖 어성좌(御成座)에서 공연된 작품은 일본의 <뱀의 집념 蛇の執念>을 번안한 <불효천벌 不孝天罰>이
신파극단 / 新派劇團 [예술·체육/연극]
1910년대 초부터 1930년대 말까지 공연된 일련의 연극. 1912년 11월 어성좌에서 일본 신파의 번안인 <불효천벌>을 공연한 것이 신파극의 효시이다. 1930년대에 활약한 신파극단으로는 연극시장, 신무대, 협동신무대, 문외극단, 명일극장, 태양극장, 황금좌, 신무
신풍광산 / 新豊鑛山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 단천군 남두일면 신풍리에 있는 인회석 광산. 1939년 봄에 지질조사소의 직원에 의하여 발견되었으며, 그뒤 조선인회석주식회사(朝鮮燐灰石株式會社))에 의하여 개발되었다. 인회석은 외국의 경우 주로 조류의 배설물이 퇴적되어 생성된 분화석(糞化石, guano)이 비
신학세계 / 神學世界 [언론·출판/언론·방송]
1916년 2월 계간으로 창간되어, 1918년부터 격월간으로 발행. 국한문으로 내리 편집되었고, 화보, 축사, 성경연구, 조직신학, 논문, 전기, 잡문, 신학교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