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향약문 / 鄕約文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유가류(儒家類) 송재경(宋在慶) 편, 목활자본, 1904년(광무 8), 불분권 1책(43장). 1904년 화양동(華陽洞)에서 행해진 향약(鄕約)을 기록한 책이다.

  • 향약집성방 / 鄕藥集成方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의가류(醫家類) 세종(世宗) 명편, 신연활자본, 행림서원, 1942, 85권 3책. 1433년에 여말선초의 향약류(鄕藥類)와 경험방류(經驗方類)를 모아 간행한 의서이다.

  • 향온 / 香醞 [생활/식생활]

    연회에 사용된 술. 찐 찹쌀과 멥쌀에 보리와 녹두가루로 만든 누룩가루를 섞어 만든 술이다. 내국법온이라고도하며 멥쌀 10말, 찹쌀 1말, 더운물, 보리와 녹두로 만든 누룩가루 1말 5되, 엿기름 1되를 재료로 하여 만든 술이다. 찐 찹쌀과 멥쌀에 더운물을 부어 오래

  • 향절 / 響節 [정치·법제]

    대한제국 시기 황후 의장에 사용되는 기구. 향절은 동황으로 칠한 자루 위에 철우리를 달고 두석철로 만든 편전 12개를 그 위에 두어 소리가 울리도록 한다. 편전에는 천하태평이라는 글귀가 있다. 황색 비단으로 그 위를 감싸고 운봉 문양을 그린다. 향절의 정은 나무로 만

  • 향정 / 鄕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지방의 향청이나 향교 등에서 실무를 맡았던 향임. 조선 초기 향규와는 달리 후기 향약에서의 향임의 이름은 다양하다. 향장을 면장의 의미로 쓴 신계읍의 경우도 있고, 17세기 남원에서는 양반 중 60세 이상자를 향장이라 한 것으로 보아, 향로·향장 등은 향임이

  • 향찰 / 鄕札 [언어/언어/문자]

    차자표기법(借字表記法)의 하나. 우리말을 차자로 완전히 기록할 수 있었던 표기법이다. 향찰이라는 용어는 ≪균여전 均如傳≫에 실린 최행귀(崔行歸)의 역시(譯詩) 서문에 나타난 것으로 향찰을 당문(唐文, 漢文)에 대립되는 뜻으로 사용하였는데, 향가(鄕歌)의 문장과 같은 우

  • 향탄산 / 香炭山 [지리/인문지리]

    지리명. 향탄산(香炭山)은 제향에 쓰는 신탄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특수용도의 산림을 말하는 것으로, 헌릉(獻陵)의 향탄산은 수원에 있는 광교산(光敎山)이다. 금표(禁標)의 경계는 전적이 남아 있지 않아 상고할 수 없으나, 금표 안쪽의 거리는 대략 40리 남짓이다.

  • 향토개척단운동 / 鄕土開拓團運動 [사회/사회구조]

    1961년부터 1985년까지 서울대학교의 학생단체인 향토개척단이 주도했던 농촌운동. 1961년 5·16군사정변으로 집권한 군사정권이 모든 정치활동과 사회운동을 통제하면서, 1960년의 4·19혁명 이후 다양하게 분출되어온 학생운동은 혹심한 억압과 반동 국면을 맞게 되었

  • 향토심 / 鄕土心 [예술·체육/연극]

    1927년 백조파 낭만시인 노작 홍사용의 첫 번째 희곡. 극단 산유화회의 창립공연으로 무대에 올려졌다. 이 작품은 홍사용의 대부분 희곡들이 그런 것처럼 드라마트루기는 약하지만 대사만은 시문다운 상징성과 깊이가 있어 시극적 성격을 지니면서 짙은 민족주의 색채를 깔고 있다

  • 향통사 / 鄕通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지방에 있었던 통역관. 중앙의 경통사(京通事)와 대비된다. 조선시대 통역관의 양성은 중앙에서는 사역원, 지방은 각 지방의 역학원에서 맡았다.어학으로는 한어·여진어·일본어가 주축이 된다. 한어역학원은 평양·의주·황주 등에 있었으며, 한학생도 각각 30인씩 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