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보월암 / 寶月庵 [종교·철학/불교]
강원도 이천군 안협면 만경산에 있었던 절. 31본산 때에는 금강산 유점사의 말사이었다. 이 절은 1896년에 취두산에 있던 심곡사를 이건하여 창건하였으며, 절 이름은 현운사라고 하였다. 그 뒤 1906년에 신도 이완구가 중수하고 절 이름을 보월암으로 개칭하였으며, 19
보천교 / 普天敎 [종교·철학/신종교]
증산교 교단 중의 하나. 1911년 차경석(車京石)이 전북 정읍군 입암면 대흥리에서 창립하였다. 1936년 차경석이 죽자 신파와 구파로 분열되었다. 신파와 구파의 쟁점은 교조의 추대 문제로, 신파는 차경석을 교조로 하고 구파는 증산을 교조로 한다.
복희팔괘 / 伏羲八卦 [종교·철학/유학]
만물의 공간적인 변화상을 나타낸 <주역>의 팔괘도. 후천도인 문왕팔괘가 낙서를 근거로 한 것에 비해 복희팔괘는 하도를 근거로 하였다. 복희팔괘와 문왕팔괘는 체용의 관계에 있다. 복희팔괘는 천지의 정체를 나타내고, 문왕팔괘는 천지의 활동을 나타낸다.
봉래정사 / 蓬萊情舍 [종교·철학/원불교]
원불교의 제2성지. 소태산이 원불교의 교법을 제정한 곳이다. 전라북도 부안군 산내면 봉래산 실상사 뒷편에 있었다. 소태산이 구인제자들과 함께 방언공사와 혈인기도를 마친 1919년부터 1924년 이리에 익산총부를 건설할 때까지 머물던 곳이다. 6.25 당시 봉래정사와 실
봉암사 / 鳳巖寺 [종교·철학/불교]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객현리 감악산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의 말사이다. 신라시대에 창건하였다가 폐사가 된 감악사 터에 1858년 창헌이 중건하였다. 1950년 6·25 때 완전히 소실되었던 것을 1953년에 학규가 초막 3칸을 지어 복원하였
봉암서원 / 鳳巖書院 [종교·철학/유학]
충청남도 연기군 서면 봉암리에 있었던 서원. 1651년(효종 2)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한충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1662년(현종 3) 김장생, 1686년(숙종 12) 송준길, 1721년(경종 1) 송시열을 추가배향하였다. 166
봉화산도당굿 / 烽火山都堂─ [종교·철학/민간신앙]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 소재 봉화산 도당에서 지내는 마을굿. 봉화산 자락에 흩어져 있는 신내동·상봉동·중화동·묵동의 전형적 농촌 마을주민들이 함께 정성을 바쳐 지내는 마을굿이다. 원래는 해를 걸러 도당굿을 했으나, 묵동이 갈라져 나간 후 최근 30여 년간은 신내동·상
봉황각 / 鳳凰閣 [종교·철학/천도교]
1901년 목조 기와집으로 만든 천도교의 수도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호. 의창수도원이라고도 한다. 손병희 자신이 1902년부터 7년 동안 이곳에 살면서 천도교의 발전책과 구국운동을 구상하였다. 1919년 3·1운동의 구상도 이곳에서 하였으며, 특히 3·1운동 때
부여금사리성당 / 扶餘金寺里聖堂 [종교·철학/천주교]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 금사리에 있는 천주교 대전교구 소속 성당.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48호. 1901년 4월27일 공주본당에서 분리 설정됐으며, 설정 당시에는 ‘홍산성당’ 또는 ‘소양리성당’이라고 불렀다.
부역승 / 赴役僧 [종교·철학/불교]
국가에서 시행하는 공사에 참여했던 승려. 조선시대의 억불정책에서 비롯된 결과이다. 이 부역승제도가 실시된 배경은 도첩을 얻기 위하여 일정한 정도의 세금을 바쳐야 했던 승려 가운데서 그렇게 할 수 없는 사람들은 국가에 노동력으로 대신 세금을 면제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