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3,38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 양화진 / 楊花津 [지리/자연지리]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지역의 한강 북안에 있었던 나루터. 조선 시대 삼진(三鎭)의 하나였던 양화진(楊花鎭)이 위치하였던 곳이기도 하다. 서울에서 양천(陽川)을 지나 강화로 가는 조선 시대 주요 간선 도로상에 위치하였던 교통의 요지였으며, 삼남 지방에서 한강을 통하여

  • 양희지 / 楊熙止 [종교·철학/유학]

    1439(세종 21)∼1504(연산군 10).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미, 아버지는 맹순, 어머니는 정시교의 딸이다. 1474년(성종 5)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 검열, 부수찬, 경연관, 교리, 예조좌랑, 병조좌랑, 상의원정, 직제학, 좌부승지, 대사간, 충

  • 어 / 敔 [예술·체육/국악]

    음악을 마칠 때 연주하는, 서쪽에 위치한 타악기. 나무로 만든 호랑이를 형상화하여 받침대에 올려놓고 대나무로 된 채를 가지고 호랑이 머리를 세 번치고 호랑이 등에 있는 27개의 톱니를 머리에서 꼬리 쪽으로 긁어 소리 낸다. 악기의 소리에 연유하여 갈이라고도 한다. 호

  • 어달산봉수대 / 於達山烽燧臺 [경제·산업/통신]

    강원도 동해시 대진동에 있는 봉수대. 봉수는 변경 지역의 긴급한 상황을 중앙 또는 변경의 다른 기지에 신속히 알리려는 군사적인 목적으로 설치한 것으로, 서로 잘 보이는 산봉우리에 봉수대를 설치하고 밤에는 횃불(熢)로, 낮에는 연기(燧)로 신호하였다. 이 봉수의 명칭은

  • 어면순 / 禦眠楯 [문학/구비문학]

    조선 중기에 송세림(宋世琳)이 편찬한 한문 소화집. 편자의 아우 세형(世珩)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확실한 편찬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서(序)·발문을 참고하면 1530년(중종 25) 전후일 것으로 추측된다. 송세림은 젊어서 과거에 급제하여 관리 생활을 시작하였으나, 질

  • 어모장군 / 禦侮將軍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무신 정3품 당하관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무산계 하계는 과의장군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무산계 하계의 과의장군은 1466년(세조 12) 어모장군으로 개칭되어 ≪경국대전≫에 그대로 수록되었다. 그리고 정3품 당하관에 해당되는

  • 어무적 / 魚無迹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유민탄」, 「신력탄」 등을 저술한 시인. 할아버지는 생원(生員) 어변문(魚變文)이며, 아버지는 사직(司直) 어효량(魚孝良)이다. 성종·연산군 때에 벼슬이 높았던 어세겸(魚世謙)과 어세공(魚世恭)과는 재종형제(再從兄弟) 사이다. 어머니가 관비임에도 불구하고 아

  • 어물전 / 魚物廛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육주비전 가운데 수산물을 취급하던 시전. 북어·관목(貫目 : 말린 청어)·꼴뚜기·민어·석어(石魚 : 조기)·통대구(通大口)·광어·문어·가오리·전복·해삼·가자미·곤포(昆布)·미역·김·파래·우뭇가사리 등 각종 수산물을 취급하던 상점이다.

  • 어변갑 / 魚變甲 [종교·철학/유학]

    1381(우왕 7)∼1435(세종 17). 조선 전기의 문신. 득룡의 증손, 할아버지는 백유, 아버지는 연, 어머니는 이운길의 딸이다. 1399년(정종 1)에 생원이 되고, 1408년(태종 8) 식년문과에 장원한 뒤 응교, 지제교, 경연검토관, 집현전직제학 등을 역임하

  • 어부가도산곡 / 漁父歌陶山曲 [언론·출판/출판]

    집부(集部) - 사곡류(詞曲類) 이현보(李賢輔), 이황(李滉) 저, 목판본, 간사년미상, 불분권 1책(어부가 6장, 도산곡 6장). 농암 이현보의 어부가(漁父歌) 9장과 퇴계 이황의 도산(陶山) 12곡이 실린 책이다. 이 곡에 관한 내용을 담은 농암과 퇴계의 초서체 글

페이지 / 33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