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신빈사건 / 新賓事件 [역사/근대사]
1931년 조선혁명당 간부들이 일본경찰에 체포된 사건. 1931년 일제가 만주사변을 도발하고 만주전역에서 독립군토벌작전을 전개함으로써 한국독립군부대들은 큰 타격을 받았다. 이 난국을 타개하기 위하여 12월 17일 조선혁명당은 신빈현 하북에 있는 교포의 집에서 긴급간부회
신사유람단 / 紳士遊覽團 [역사/근대사]
1881년 4월 10일부터 약 4개월에 걸쳐 일본에 파견되었던 문물시찰단. 1876년 일본과 강화도조약을 체결 후, 두 차례에 걸쳐 일본에 수신사를 파견하였다. 2차 수신사로 파견된 김홍집은 황준헌의 <조선책략>을 갖고 왔는데, 이것은 초기 개화운동의 시발이 되었다.
신사참배거부운동 / 神社參拜拒否運動 [종교·철학/개신교]
1930년대 후반부터 1945년 광복이 되기까지 주로 기독교인들이 중심이 되어 전개한 신앙수호를 위한 항일운동. 1910년 한국병탄전에는 일본 거류민들을 중심으로 민간에서 건립과 유지를 주도했지만, 병탄 후에는 조선총독부의 보호와 육성 아래 신사의 관공립적인 성격이 강
신사척사론 / 辛巳斥邪論 [역사/근대사]
1881년 신사년의 척사상소를 중심으로 전개된 위정척사운동의 한 형태. 신사척사론은 1876년 강화도조약 체결 이후 노골적인 개화 움직임을 화이의식적(華夷意識的)인 위정척사의 입장에서 반대하고, 개화파에 대항하기 위하여 제시된 사상이다.
신생명 / 新生命 [언론·출판/언론·방송]
1923년 7월 16일 한국인의 재력과 글로 문서선교 운동을 시작한 기독교 창문사에서 창간하여, 국한문 혼용으로 내리 편집한 월간지. 잡지의 내용은 논문, 성경연구, 번역, 문예, 잡문, 축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소설 / 新小說 [문학/현대문학]
갑오개혁 이후부터 현대 소설이 창작되기 전까지 창작된 소설. 신소설은 시대적 명칭이며 동시에 이 명칭은 문학용어로 정착되어 이제까지의 문학사에서 통용되고 있는 데, 때로는 역사적인 의미를 더 강조하거나 발생한 시대의 문화적 특성을 감안하여 ‘개화기소설’로 부르는 경우도
신숙주부인전 / 申叔舟夫人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신소설. 이 소설은 이기(李墍)의 『송와잡설(松窩雜說)』이 근거가 된 듯하다. 『조선왕조실록』이나 『신씨세보』에 의하면, 사육신의 옥사(1456) 5개월 전에 윤씨 부인이 이미 세상을 떠났으며, 이때 신숙주는 중국에 사신으로 가 있어 부인의 부음을 알
신식화폐발행장정 / 新式貨幣發行章程 [경제·산업/경제]
1894년 7월 은화를 본위화폐로 하고, 동화를 보조화폐로 제정, 공포된 화폐제도. 이 장정은 7개조로 되어 있으며, 1892년의 '신식화폐조례'와는 달리 일본의 강력한 간섭 밑에서 공포, 시행되었다. 제7조의 내용에는 '신식화폐가 다량으로 주조될 때까지는 잠시 외국화
신식화폐조례 / 新式貨幣條例 [경제·산업/경제]
1892년에 은화(銀貨)를 본위화로 하고 동화(銅貨)를 보조화로 채택한 근대식 화폐제도. '신식전화통용제한법(新式錢貨通用制限法)' 및 벌칙 등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당시 일본은 1원(圓) 은화를 본위로 하고 있는 데 비해, 조선은 5냥·1냥 은화를 본위로 하고
신실시행가 / 信實施行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東學歌辭). 작자는 김주희(金周熙)라는 주장도 있으나 자세한 고증이 요구된다. 1932년경상북도 상주의 동학본부에서 국한문 혼용본 및 국문본 2종으로 간행되었으며, 『용담유사(龍潭遺詞)』 권33에 수록되어 있다. 이 작품은 「신실시행가」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