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변시섬 / 邊始暹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73∼?). 증조부는 변유체, 조부는 변국빈, 부친 변익보, 외조부는 김추한이다. 29세 때 1801년(순조 1) 신유 식년시 을과 4위로 합격하였다. 벼슬은 지평에 이르렀다. 성품이 청렴결백하였고, 효성과 우애가 깊었으며, 근검절약하는 것으로
변중선 / 邊衆船 [종교·철학/원불교]
항일기의 독립운동가·교육자(1903∼1980). 휘문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중국 상해로 건너가 상해 동제대학에서 산부인과를 전공했다. 대학 재학시절부터 독립운동에 투신하여 상해 한인청년회장, 해외한인청년총동맹 중앙집행위원장,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국무위원 등을 역임했
변중일 / 邊中一 [종교·철학/유학]
1575(선조 8)∼1660(현종 1). 조선 중기의 학자. 경장의 아들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 선조가 의주로 몽진하자 김성일이 초유사가 되어 의병을 모집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 때는 화왕성으로 달려가 박수춘·성안의·남사명·유복기·정사성 등과
별동집 / 別洞集 [종교·철학/유학]
윤상의 문집.목판본, 5권 2책. 김종직의 서문과 이광정의 후서, 류도헌 발문이 실려 있다. 권1에는 목차와 부 1편,시82수,표전 12편이 실려 있다. 권2는 소ㆍ진언 4편,서 1편, 기 2편, 제문 7편, 책 4편,습유 2편, 가요 6편으로 구성된다. 권3은 부록으
별신굿 / 別神─ [종교·철학/민간신앙]
무당이 제사하는 큰 규모의 마을굿. 동해안지역에서는 벨신·벨순·배생이·별손·뱃선 등으로 불리고 있다. 여타의 지역으로는 은산·경주·충주·마산·김천·자인 등이 보고되어 있으나, 가장 융성한 지역은 동해안일대이다. 별신이라는 말의 어원에 대해서는 신을 특별히 모신다는 뜻을
병산집 / 缾山集 [종교·철학/유학]
김난상의 문집. 목판본. 서: 유태좌. 3권 2책. 권1에는 만시를 포함한 7수의 시, 제문 1편, 서 3편, 소 1편, 차 3편, 계 26편 그리고 유묵이 들어있다. 권2는 부록(상편)으로서 만사, 행장, 행장후서, 묘갈명, 갈음식, 청증작시상언, 예조회달, 청가증작
병인박해 / 丙寅迫害 [종교·철학/천주교]
1866년부터 1873년 사이 천주교에 대한 대박해. 이 박해는 네 차례에 걸쳐서 행해졌는데, 대원군의 주도로 진행되었다. 대원군은 원래 천주교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이었으나, 러시아의 남하정책 때문에 박해하게 되었다. 병인박해 순교자들에 대해 기록한 자료로는 뮈텔(Mu
병촉재집 / 炳燭齋集 [종교·철학/유학]
정지집의 문집. 목활자본, 서: 권상익(1924), 4권 2책. 후손인 정원국과 방손 정건모가 성재 권상익에게 교정과 서문을 요청하여, 1925년에 간행하였다. 권1은 시, 권2는 시와 서, 권3은 서와 잡저와 서와 발과 명과 상량문과 축문, 권4는 제문, 묘갈명, 유
보덕사 / 報德寺 [종교·철학/불교]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서원산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 본사인 수덕사의 말사이다. 본래 옥양봉 남쪽 기슭에 있던 가야사를 승계하여 1871년에 창건하였다. 1951년 2월에는 비구니 수옥이 중창하였고, 1962년에는 비구니 종현이 증축하였다. 현존하는
보우 / 普雨 [종교·철학/불교]
1509-1595. 조선시대의 승려. 15세에 금강산 마하연암에서 출가하였다. 훗날 정만종의 천거로 명종의 어머니 문정왕후와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 보우는 고동안 배불정책으로 탄압을 받아왔던 불교를 진흥시키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선종과 교종을 다시 부활시켰고 승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