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총 3,8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이건승 / 李建昇 [문학/한문학]
일제강점기 『해경당수초』를 저술한 유학자.양명학자. 영재(寧齋)이건창(李建昌)의 아우이며 난곡(蘭谷)이건방(李建芳)의 재종형이다. 하곡(霞谷)정제두(鄭齊斗)에서 연원하는 강화학파(江華學派)의 학맥을 이어서 양명학(陽明學)의 사상을 지녔다. 매천(梅泉)황현(黃玹)과 깊
이건창 / 李建昌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대문장가(1852∼1898). 강위·김택영·황현 등과 교분이 두터웠으며 용모가 청수했다고 전한다. 갑오경장 이후로는 새로운 관제에 의한 각부의 협판·특진관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거절했다. 고향인 강화에 내려가서 서울과는 발길을 끊고 지내다가 47세
이건하 / 李乾夏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35∼?). 1864년(고종 1)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부교리가 되었다. 이후 형조판서·중추원부의장 등을 지냈다. 1904년 상소를 올려 일본의 황무지개척권 확보를 저지하였다. 국권강탈 후 일본정부로부터 남작의 지위를 받았다.
이건호 / 李建鎬 [역사/근대사]
1885-1950.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충청남도 부여군(夫餘郡) 규암면(窥岩面)이다. 전국에서 국채보상운동이 전개되자 지방운동단체도 참여하였는데, 전라북도 지방에서는 조병관(曺秉灌)·최동주(崔東柱)를 중심으로 19명이 발기하여 1907년 3월 국채보상전북
이격 / 李格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무신(1748∼1803). 아버지는 부만이다. 1769년(영조 45)에 무과에 급제하여 병마절도사·도총부총관 등을 역임했다. 홍국영과의 갈등으로 남양에 유배되었다. 아들 이현직이 어영대장에 오르자 좌참찬에 추증되었다.
이겸 / 李謙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노의 증손, 할아버지는 양춘, 아버지는 맹지, 어머니는 강사민의 딸이다. 1501년(연산군 7)에 진사, 1507년(중종 2)에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흥덕현감·장령·사성, 중화부사에 이르렀다. 1519년 기묘사화 때 장령으로서 대사
이경석 / 李景奭 [종교·철학/유학]
1595(선조 28)∼1671(현종 12). 조선 중기의 문신. 후생 6대손, 계수 증손, 할아버지는 수광, 아버지는 유간, 어머니는 고한량의 딸이다. 1617년 증광 별시에 급제 이조좌랑, 양주목사, 대사간, 대사헌, 이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을 역임하였다
이경선 / 李慶善 [종교·철학/유학]
1600∼1636, 조선후기 유학자. 이시발의 서자, 오윤겸의 사위이다. 1624년(인조 2) 진사시에 합격, 1632년(인조 10) 문과에 급제했는데, 병자호란 당시 남포현감으로 재직했다. 전쟁이 발발하자 충청감사 정세규의 명령에 따라 군사를 모집하여 광주 험천까지
이경억 / 李慶億 [종교·철학/유학]
1620(광해군 12)∼1673(현종 14). 조선 후기의 문신. 경윤 증손, 할아버지는 대건, 아버지는 시발, 어머니는 신응거의 딸이다. 1644년(인조 22) 25세의 젊은 나이로 정시 문과에 장원해 예조와 병조의 좌랑을 역임하고 세자시강원사서가 되었다. 한성우윤,
이경여 / 李敬輿 [종교·철학/유학]
1585(선조 18)∼1657(효종 8). 조선 중기의 문신. 세종의 7대손, 할아버지는 극강, 아버지는 유록, 어머니는 송제신의 딸이다. 1609년(광해군 1)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1611년 검열이 되었으나, 광해군의 실정이 심해지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