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신로심불로 / 身老心不老 [예술·체육/무용]
1936년 말에서 1940년 사이 최승희의 유럽공연 동안에 발표된 신무용 작품 명칭 또는 1949년 뉴욕 자연사박물관에서 조택원의 한국춤 레퍼토리로 초연된 신무용 작품 명칭. 한국 옛 노인의 모습을 표현하기 위해 흰 도포와 갓을 착용하고, 노인 가면을 쓰고긴 담뱃대(곰
신무용 / 新舞踊 [예술·체육/무용]
20세기 중반 우리나라에서 성행한 근대적 형태의 새로운 춤. 신무용은 일본에서 유입된 용어이며, 한국의 신무용 양식 역시 초창기에는 일본을 경유해서 유입된 서구 양식을 활용한 춤을 지칭하였다. 신무용은 한국에서 근대적 형태의 춤이 창작되는 신기원(新紀元)을 열었다. 특
신문 / 新聞 [언론·출판/언론·방송]
경제, 경제, 사회, 문화를 다루는 일간지. 사회에서 발생한 사건에 대한 사실 또는 해설을 널리 전달하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발행하는 간행물이다.
신문지법 / 新聞紙法 [언론·출판/언론·방송]
일제가 우리 나라의 신문을 탄압, 통제하기 위하여 제정한 법. ‘광무신문지법’이라고도 불린다. 41조로 구성된 이 법은 내용상 일본의 신문지법을 본뜬 것이나, 그보다 훨씬 가혹한 내용을 담고 있다. 신문을 창간할 때 내부대신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보증금을 납부해야 했다
신문학 / 新文學 [문학]
19세기 말, 특히 갑오경장 이후 유럽 근대문예사조의 영향을 받아 일어난 한국의 근대문학과 그후의 현대문학을 아울러 일컫는 말. 신소설까지 포함시키는 경향이 있으나, 이를 엄격히 구별하여 신소설이 지니고 있던 봉건사상의 잔재성을 탈피하고 그것이 지닌 근대적 요소 위에
신문화운동 / 新文化運動 [종교·철학/천도교]
일제가 문화정치를 표방하자 천도교에서 이에 대응하여 벌였던 다양한 계몽운동들. 1919년 9월에 이돈화(李敦化), 박래홍(朴來弘), 정도준(鄭道俊) 등의 발기로 ‘천도교리의 연구, 선전과 조선 신문화의 향상, 발전’을 목적으로 내건 천도교 청년교리강연부(靑年敎理講硏部)
신미양요 / 辛未洋擾 [역사/근대사]
1871년 미국 아시아함대가 강화도에 쳐들어온 사건. 1871년 미국의 아시아함대 사령관 로저스(Rodgers, J.)가 해군함대를 동원하여 조선 원정을 한 것으로, 6월 10일 초지진 상륙작전을 단행하였다. 상륙 군 부대를 10개 중대로 편성하고, 포병대·공병대·의무
신민부 / 新民府 [역사/근대사]
1925년 만주에서 조직되었던 독립 운동 단체. 북만주 지역의 독립 운동 단체들이 효과적인 항일 투쟁을 전개하기 위해 통합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1925년 1월길림성 목릉현에서 부여족통일회의가 개최되고 그해 3월 10일영안현 영안성 내에서 결성되었다. 이후 각 분야에 걸
신병휴 / 申炳休 [종교·철학/유학]
1854년(철종 5)~미상. 조선 말기 문신. 증조는 신현록, 조부는 신응모, 부친은 신만구이다. 생부는 신헌구이다. 1887년(고종 24) 정시에 병과 2위로 급제하였고, 사헌부정언, 홍문관부응교, 승정원동부승지, 내무아문참의 등을 역임하였다.
신비주의 / 神秘主義 [종교·철학/개신교]
신적 존재와 인간의 직접적인 교섭이나 융합 일치를 주장하는 사상. 신비주의의 문제는 기독교가 우리나라에 전파되어 선교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가운데 현저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1907년 평양 대부흥회 때 야기된 상황은 바로 신비주의적 요소가 기독교에 침투하여 생겨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