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9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 대한해협 / 大韓海峽 [지리/자연지리]

    우리나라 동남부와 일본열도의 규슈 사이에 있는 해협. 황해, 남해 및 동중국해와 동해를 연결하는 폭 200km 정도의 좁은 해협이다. 해협의 양안은 리아스식 해안으로 우리나라 남해안측은 복잡한 해안지형을 이용한 김과 조개류의 양식이 성하다. 대륙붕상에는 난류가 흘러 해

  • 대홍산 / 大紅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장진군 상남면과 평안북도 강계군 용림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2,152m. 낭림산맥에 속하며 북쪽으로는 맹부산(猛扶山, 2,214m)·총전령(葱田嶺, 2,084m)·와갈봉(臥碣峰, 2,261m), 서쪽으로 평안북도인재백산(人在白山, 1,813m)·단목산(檀木

  • 대횡간도 / 大橫干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여수시 남면 횡간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169명(남 85명, 여 84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69세대이다. 취락은 요망산 북서 사면 산록부의 해안가에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은 없고 밭 0.24㎢, 임야 0.04㎢이

  • 대흑산도 / 大黑山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에 속하는 섬. 경지 면적은 논 3㏊, 밭 208㏊, 임야 1,545㏊이며, 주요 농산물로는 고구마·보리를 비롯하여 콩·마늘·참깨가 생산된다. 수산물로는 조기·병어·해태·미역 등이 생산된다. 2004년 1월 30일에 흑산도의 일부 지역이 다도해해상

  • 덕구산 / 德九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정선군 임계면과 강릉시 왕산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009m. 태백산맥의 줄기인 해안산맥에 속하는 산으로, 북쪽에 태화실산(太花實山, 1,010m), 서쪽에 사달산(1,169m)·노추산(老秋山, 1,322m), 남쪽에 백준산(白俊山, 1,067m), 동쪽에

  • 덕산도립공원 / 德山道立公園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과 서산시 해미면에 걸쳐있는 도립공원. 덕산(德山)은 산 이름이 아니고 덕산면의 덕숭산과 수덕사, 온천, 윤봉길(尹奉吉)의 유적, 사당 등을 중심으로 가야산 일대에 지정된 도립공원의 명칭이다. 덕산도립공원에는 국가지정문화재 5점, 지방지정문화재 4

  • 덕우도 / 德牛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완도군 생일면 봉선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139명(남 68명, 여 71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74세대이다. 조선 효종 때 반남박씨(潘南朴氏)가 처음으로 들어와 살기 시작하였다고 하는데, 취락은 서쪽 해안의 선착장에서부터 중앙부의

  • 덕유산 / 德裕山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무주군·장수군과 경상남도 거창군·함양군에 걸쳐 있는 산. 덕유산 일대는 웅장한 산세와 계곡, 그리고 울창한 식생이 어울려 뛰어난 자연경관을 이루고 있고, 산성·사찰 등 문화 유적이 많아 1975년 2월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공원 면적은 총 219㎢인데,

  • 덕유산국립공원 / 德裕山國立公園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무주군·장수군, 경상남도 거창군 지역에 걸쳐 있는 국립공원. 덕유산국립공원은 무주 구천동 33비경이 나제통문(羅濟通門)에서부터 북덕유산 턱 아래 백련사까지 장장 70리 길의 계곡에 걸쳐 펼쳐져 있어 최고의 절경지를 이룬다. 특히, 심산유곡의 계류는 전국적인 피

  • 덕적군도 / 德積群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에 속하는 군도. 2007년 말 현재 덕적면 전체 인구는 1,764명(남 922명, 여 842명)이고 세대수는 911호이다. 전체 면적은 36.02㎢고, 논 1.25㎢, 밭 1.5㎢, 임야 31.83㎢이다. 농업으로는 주로 쌀이 생산되고 이 밖에

페이지 / 9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