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시종원 / 侍從院 [역사/근대사]

    1895년 관제개혁 때 임금의 비서, 어복, 어물, 위생 등을 맡았던 궁내부 산하 관서. 종래의 경연청이 폐지되자, 시종원에서 시강과 시종을 담당하였다. 그 뒤 경연원이 다시 설치됨으로써 시강 업무는 그곳으로 넘어갔으며, 1910년 폐지되었다.

  • 시천주 / 侍天主 [종교·철학/천도교]

    최제우(崔濟愚)가 세운 동학의 근본사상. 천주를 모신다는 뜻이다. 천주는 일반적으로 절대자 또는 초월자를 의미하는데, 천도교에서는 하느님을 한자로 표기할 때 쓴다. 천도교에서는 인간 속에 하느님이 내재한다고 본다. 따라서 시천주사상은 곧 하느님이라고 하는 인간지상주의의

  • 시탄비 / 祡炭費 [경제·산업/경제]

    숯과 석탄 등의 시탄(祡炭)을 구입하는 비용이다.

  • 시편촬요 / 詩篇撮要 [언어/언어/문자]

    1898년에 알렉산더 피터스(A. Peters)가 구약성서의 시편을 한국어로 번역한 책. 『시편촬요(詩篇撮要)』는 구약성서에서 시편 150편 가운데 축복 편에 속하는 62편을 발췌하여 한국어로 번역한 책이다. 본문에서 인명 오른쪽에 한 줄을, 지명 오른쪽에는 두 줄을

  • 식산계 / 殖産契 [역사/근대사]

    일제강점기 조선금융조합연합회에서 '식산계령(殖産契令)'에 따라 조직한 계. 1935년 농촌금융조합의 증설과 함께 등장하기 시작한 이후 그 필요성이 계속 증대되었다. 식산계는 금융조합의 지시에 따라 생산물의 공동판매와 생필품의 공동구입을 도모하는 한편, 농산물 창고를 공

  • 신가정 / 新家庭 [언론·출판/출판]

    1933년에 창간되었던 월간 여성교양잡지. 당시의 여성들에게 교양과 지식을 주입시켜 새 가정을 만들어나갈 자질을 함양시키고자 간행된 여성 계몽지였다. <신가정>은 당시의 '신문지법(新聞紙法)' 허가잡지가 아닌 '출판법'에 의하였기 때문에 원고나 교정쇄를 일본총독부에 제

  • 신간회 / 新幹會 [역사/근대사]

    1927년 2월 민족주의 좌파와 사회주의자들이 연합하여 서울에서 창립한 민족협동전선. 국내 민족유일당운동의 구체적인 좌우합작 모임. 창립 당시부터 좌우익 간의 갈등·대립으로 분란이 계속되던 신간회는, 1931년 5월 16일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에서 대의원 77명이 참석한

  • 신건설 / 新建設 [예술·체육/연극]

    프롤레타리아 연극 건설을 목표로 하여 조직된 극단으로 1932년 4월 창단하여 1934년 7월까지 활동한 극단. 이제까지의 소위 좌익적 극단들이 가졌던 불성실을 배제하고 활발하게 연극활동을 전개하겠다는 의지 아래 결성된 극단이다. 송영, 권환, 신고송, 강호, 이귀자

  • 신경향파 문학 / 新傾向派文學 [교육]

    1923년경 당시 <백조>파와 <창조>파의 감상주의 및 퇴폐성을 비판하고 일어난 사회주의 경향의 문학. 카프가 성립하기 전 프롤레타리아 문학운동의 전기에 해당하며, 박영희가 <개벽>에 <신경향파의 문학과 그 문단적 지위>라는 문학론을 발표한 후부터 신경향파로 불리게 되

  • 신구문자집 / 新舊文字集 [문학/구비문학]

    김동진(金東縉)이 편찬한 일종의 관용어 사전. 일상생활 속에서 자주 쓰이는 숙어·문자·속담·파자·수수께끼 등을 모아 가나다순으로 배열하여 놓은 것으로, 크게 다섯 부분으로 나뉜다. 제1부에서는 보통용의 속담 문자를 자수별로 가나다순으로 배열하고 각 어휘마다 간단한 뜻풀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