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고무생 / 高戊生 [역사/근대사]

    1899-미상. 일제강점기 민족종교인·항일운동가. 본관은 제주(濟州)이고, 출신지는 제주도 서귀포(西歸浦) 안덕면(安德面) 상창리(上倉里)이며 후에 상예동(上猊洞)으로 이주하였다. 어려서 한문을 공부하였고, 농업에 종사하였다. 강승하(姜承河)가 1936년 무극대도교(

  • 고무줄놀이 [생활/민속]

    고무줄의 탄력성을 이용한 여자아이들의 놀이. 노래에 맞추어 고무줄을 발목에 걸어 넘는 놀이로 초등학교 여자어린이들이 즐겨 한다. 고무줄 길이는 일정하지 않으나 3, 4m 정도가 적당하며, 2∼4명이 하는 것이 보통이다. 놀이방법은 사람 수에 따라 다른데, 그 수가 2명

  • 고문 / 古文 [문학/한문학]

    한문 문체의 하나. 국문학이나 국어학에서는 중세국어로 표기된 글을 현대문과 대칭해서 부르고 있다. 또, 중국에서는 일상어인 ‘백화(白話)’와 대립하여 문언(文言)으로 쓰인 산체문(散體文)을 ‘고문’이라 병칭하기도 한다. 근대 이전의 한문학에서는 다음의 세 가지 경우에

  • 고문백선 / 古文白選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김석주(金錫胄)가 선집한 고문선집. 10권 10책. 필사본. 『고문백선』의 책머리에 김석주의 서문이 있고, 본문은 상·중·하 3편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 편은 다시 5권·4권·1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1권이 1책으로 편철되어 모두 10권 10책이다. 각 권

  • 고문비략 / 顧問備略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학자 최성환이 당시의 정치·경제·사회적 문제의 원인과 그 해결책에 대하여 1858년에 저술한 역사서. 4권 2책. 필사본. 장지완(張之琬)이 서문을 썼다. 원래 헌종의 명에 의하여 저술되기 시작하였으나, 헌종이 죽자 일단 중단되었다가 뒤에 개인 저작물로 나오게

  • 고문운율 / 古文韻律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허목(許穆)이 고문자를 운율의 순서에 따라 필사, 편집한 전서체집(篆書體集). 1책(110장). 석판본. 1929년에 허목의 11세손 혁이 원본이 장차 인멸될 것을 걱정하였다. 허혁은 허목이 『고문운율』을 편집한 지 265년 만에 한 통을 영사(影寫)하여

  • 고문정치 / 顧問政治 [정치·법제/외교]

    일본이 우리나라를 속국화하기 위해 고문관을 파견, 통치한 정치. 일본은 한일의정서를 바탕으로 대장성 주세국장 메카다를 재정고문에, 일본 외무성 촉탁인 친일미국인 스티븐스를 외교고문으로 발탁하였다. 이로써 우리 나라의 재정과 외교를 감독, 정리한다는 명목으로 재정권과

  • 고문진보 / 古文眞寶 [문학/한문학]

    송나라 말기의 학자 황견(黃堅)이 편찬한 시문선집. 20권 10책. 이 책은 전국시대부터 송나라에 이르기까지의 시문을 전집·후집으로 나누어 수록하였다. 전집은 「권학문(勸學文)」을 비롯하여 소박하고 고아한 고시를 주로 수록하였고, 후집은 산문인 17체의 명문을 실었다.

  • 고문진보언해 / 古文眞寶諺解 [언어/언어/문자]

    조선 후기에 간행된 송나라의 황견(黃堅)이 편찬한 『상설고문진보대전(詳說古文眞寶大全)』 언해서. 필사본. ‘상설고문진보언해(詳說古文眞寶諺解)’라고도 한다. 이 책은 전집 12권, 후집 10권, 모두 22권으로 되어 있고, 부록으로 첩산선생비점문장궤범언해(疊山先生批點文章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