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3,38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 안음 / 安陰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함양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신라의 마리현(馬利縣)이었는데, 경덕왕이 이안(利安)이라 개칭하여 천령군(天嶺郡)의 영현으로 삼았다. 1018년(현종 9) 합주(陜州)의 임내였다가 1390년(공양왕 2) 감음현(感陰縣)에 이속시켰다. 감음현은 본래 신라의 남내현(

  • 안의진 / 安義鎭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구성군 천마면 지역에 있었던 조선시대의 진(鎭). 조선시대에 안의진은 행정상 구성도호부(龜城都護府)에 속하였으나 위치는 정주의 해안에 있었다. 안의진에는 고성(古城)이 있었는데, 이 성은 예전에 수주(隨州)에 속하였으나 조선 세조 때 구성으로 옮겼다. 안의진이

  • 안의향교 / 安義鄕校 [교육/교육]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교북리에 있는 향교. 1473년(성종 4)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정유재란 때 소실되었다가 1607년(선조 40) 중건하였으며, 1729년(영조 5)안음현의 혁읍(革邑)으로 폐지되

  • 안인 / 安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외명부인 문무관처에게 내린 정·종7품 작호. 문·무관 7품의 관계에 오른 적처에게 봉작된 작호이다. 1396년(태조 5) 문무 각품 정처에 대한 봉작제를 실시할 적에는 6품관의 정처에게 봉해졌으며, ≪경국대전≫에는 정7품과 종7품의 문무관 처에게 봉해지도록

  • 안주향교 / 安州鄕校 [교육/교육]

    평안남도 안주군(현재의 안주시) 안주읍 북문리에 있는 향교. 조선 전기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당시의 경내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재(東齋)·서재·전사청(典祀廳)·신문(神門)·홍살문 등이 있었다. 대성전에는

  • 안처순 / 安處順 [종교·철학/유학]

    1492(성종 23)∼1534(중종 29). 조선 중기의 문신. 구 증손, 할아버지는 지귀, 아버지는 기, 어머니는 임옥산의 딸이다. 6세 때 아버지를 여의고 중부인 판서 침에게 의탁하여 성장하였다. 별시문과 병과에 급제, 홍문관박사, 구례현감, 성균관학관, 봉상시판

  • 안침 / 安琛 [종교·철학/유학]

    1445(세종 27)∼1515(중종 10). 조선 전기의 문신. 종약의 증손, 할아버지는 구이다. 아버지는 지귀, 어머니는 박이창의 딸이다. 1462년(세조 8) 중형 선과 함께 생원·진사 양시에 합격하였다. 1466년 고성별시문과에 2등으로 급제하였다. 정자·사록·사

  • 안팽명 / 安彭命 [종교·철학/유학]

    1447(세종 29)∼1492(성종 23). 조선 전기의 문신. 기 증손, 할아버지는 성, 아버지는 종생, 어머니는 배소의 딸이다. 1472년(성종 3)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예문관봉교, 장령, 집의, 사간을 역임하였다. 1492년 8월 예빈시부정이 되어 왕명

  • 안평대군 / 安平大君 [종교·철학/유학]

    1418(태종 18)∼1453(단종 1). 조선 초기의 왕족·서예가. 1428년(세종 10)안평대군에 봉해지고 이듬해좌부대언 정연의 딸과 결혼하였다. 1430년에는 성균관에 입학하였다.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고 시문·서·화에 모두 능하여 삼절이라 칭하였다. 작품으로는

  • 안홍 / 安鴻 [종교·철학/유학]

    1517(중종 12)∼1582(선조 15).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숙손이다. 정지운의 문인이다. 1535년(중종 30)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여러 관직을 지낸 뒤 사성을 거쳐 1566년(명종 21)에 청주목사가 되어 흉년으로 굶주리는 백성을 구제하는 데

페이지 / 33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