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고령탄 / 高靈歎 [문학/한문학]
1886년(고종 23) 이건창(李建昌)이 지은 한시. 5언 100구의 장편고시이다. 작자의 문집 『명미당집(明美堂集)』 권4에 실려 있다. 제목 밑의 주에 그의 동생이 「악부(樂府)」 한 편을 지어줄 것을 요청하여 이 시를 지어 동생에게 보여주었다고 창작 동기를 밝히고
고령토 / 高嶺土 [예술·체육/공예]
도자기의 태토와 유약의 원료가 되는 흰색 또는 회색의 흙. 중국의 대표적 도자기 생산지인 경덕진요(景德鎭窯) 부근의 장시성 고령촌(高嶺村)에서 생산되는 점토로 대표되기 때문에 고령토라 불리게 되었다.주광물은 카올리나이트(kaolinite : Al2O3·2SiO2·2H2
고령향교 / 高靈鄕校 [교육/교육]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연조리에 있는 향교. 창건연대는 미상이나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하여 군의 서쪽에 창건되었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을 때 위패만을 옮겨 매안(埋安)하였다. 1676년 위패를 매안하였던 장소에
고령화 / 高齡化 [사회/사회구조]
평균수명의 증가에 따라 총인구 중에 차지하는 고령자(노인)의 인구비율이 점차로 많아지는 현상 또는 높은 상태. 한국사회의 산업화·도시화·현대화로 인하여 보건의료기술이 발달하고 영양·안전·위생환경이 개선되었으며 생활수준이 크게 향상되었다. 이에 따라 국민의 평균수명이 늘
고록지 / 古祿只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무안 지역의 옛 지명. 본래 마한의 고이도성(皐夷島城)에 속하였던 지역으로, 백제 때는 고록지현 또는 개요현(開要縣)이라 하였다. 757년(경덕왕 16) 염해현(鹽海縣)으로 고쳐서 압해군(壓海郡: 신안군)의 영현으로 하였다. 고려 때 임치현(臨淄縣)으로 고쳐서
고루가 / 枯髏歌 [문학/고전시가]
고려 말에 나옹화상(懶翁和尙) 혜근(惠勤)이 지은 불교가요. 7언기조 52구이며 한문으로 되어 있다. 「완주가(翫珠歌)」·「백납가(百衲歌)」와 함께 ‘나옹삼가(懶翁三歌)’로 일컬었으며, 『나옹화상가송(懶翁和尙歌頌)』에 함께 수록되어 전한다. 후대에 불광산(佛光山)대원암
고루포기산 / ─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평창군 도암면과 강릉시 왕산면에 걸쳐 있는 산. 고루포기산의 높이는 1,238m이고, 태백산맥의 줄기인 해안산맥에 속한다. 북쪽에 능경봉(1,123m), 동쪽에 서득봉(西得峰, 1,052m), 남쪽에 옥녀봉(玉女峰, 1,146m) 등이 솟아 있고, 백두대간 상에
고리원자력발전소 / 古里原子力發電所 [경제·산업/산업]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고리에 있는 가압경수로형(加壓輕水爐型) 원자력발전소. 1971년 11월 15일 원자로건물을 착공하여, 1977년 4월 26일 핵연료 48톤을 원자로에 채워넣고, 같은 해 6월 30일 시험발전을 하여 국내 처음으로 원자력에 의한 전기를 공급하였으
고마도 / 古馬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완도군 군외면 불목리에 있는 섬. 동경 126°42′, 북위 34°24′에 위치하며, 완도읍에서 10.3㎞, 군외면에서 1.8㎞ 떨어져 있다. 완도군 군외면 영풍리 북쪽과 해남군 북일면 내동리 남쪽 사이에 있는 섬이다. 면적은 2.90㎢이고, 해안선 길이는 6
고마령전투 / 古馬嶺戰鬪 [역사/근대사]
1925년 3월 육군주만참의부 소속 독립군이 만주 집안현 고마령 산곡에서 평안북도 초산경찰서 경찰대의 기습을 받고 전개한 전투. 고마령전투는 참의부로 하여금 그 진용을 정비해 항일전 및 주구 숙청에 더욱 매진하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