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태조 / 太祖 [역사/조선시대사]

    1335(충숙왕 복위 4)∼1408(태종 8). 조선 제1대 왕. 자춘 둘째 아들, 어머니는 최한기의 딸이다. 비는 신의왕후 한씨이다. 계비는 신덕왕후 강씨이다. 1392년 7월 공양왕을 원주로 내쫓고, 새 왕조의 태조로서 왕위에 올랐다. 명나라의 양해 아래 새 왕조의

  • 태조대왕가상시호망단 / 太祖大王加上諡號望單 [정치·법제]

    조선의 태조에게 가상 시호를 의정하기 위해 1683년(숙종 9) 4월 빈청에서 올린 시호 망단. 이 망단에서 의정한 가상 시호는 '정의광덕(正義光德)'이며, 이 네 글자를 종전의 시호에 덧붙여서 단망의 형태로 써 올리고 숙종의 계하를 받았다.

  • 태종 / 太宗 [역사/조선시대사]

    1367(공민왕 16)∼1422(세종 4). 조선 제3대 왕. 태조의 다섯째 아들, 어머니는 신의왕후 한씨이다. 비는 원경왕후이다. 태종은 이성계를 보필해 조선왕조 개창에 공헌하였다. 개국 초에는 한때 불우하기도 했지만 정도전 일파를 제거하고 국권을 장악하였다. 정종의

  • 태종대왕가상시호망단 / 太宗大王加上諡號望單 [정치·법제]

    조선의 제3대 국왕인 태종에게 가상 시호를 의정하기 위해 1683년(숙종 9) 4월 빈청에서 숙종에게 올린 시호 망단. 이 망단에서 의정한 가상 시호는 '예철성렬(睿哲成烈)' 네 글자를 써서 단망의 형태로 올려 숙종의 계하를 받았다.

  • 태창광산 / 泰昌鑛山 [경제·산업/산업]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연하리에 있었던 금·은광산. 보련산(寶蓮山) 남쪽사면에 위치한다. 지질은 선캄브리아기의 편마암류와 청주화강암(淸州花崗岩)에 속하는 흑운모화강암 및 암맥으로 구성되어 있고 광상(鑛床)은 편상화강암(片狀花崗岩)내에 편리(片理)를 따라서 충전(充塡)된

  • 태천향교 / 泰川鄕校 [교육/교육]

    평안북도 태천군 태천면 서부동에 있었던 향교. 여말선초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당시의 경내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무(東廡)·서무(西廡)·동재(東齋)·서재(西齋)·교관실(敎官室)·제기고(祭器庫)·동서 협문(夾

  • 태평곡 / 太平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종 때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경기체가. 전 5장. 1541년(중종 36)에서 1544년 사이에 지어진 것으로 1544년 작자가 편찬한 『죽계지(竹溪誌)』에 수록되었고, 그의 문집인 『무릉잡고(武陵雜稿)』(別集 권8)에도 실려 있다. 내용은 태평성세를 이룩하였던

  • 태평곡 / 太平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숙종 때 침굉선사(枕肱禪師, 懸辨)가 지은 불교가사. 형식은 4음보 1행을 기준으로 모두 78행이다. 그의 문집인 『침굉집(枕肱集)』에 실려 전한다. 「귀산곡(歸山曲)」·「청학동가(靑鶴洞歌)」 중 가장 분량이 길다. 내용은 중이랍시고 가사만 입고, 하는 일 없이

  • 태평곡 / 太平曲 [문학/고전시가]

    고려 충렬왕 때 김원상(金元祥)이 지었다는 가요. 작품은 전하지 않고 『고려사』 열전 권125 김원상조에 노래에 관련된 일화가 기록되어 있다. 『고려사』에 따르면 작자가 적선래(謫仙來)라는 기생에게 이 노래를 가르친 뒤 왕 앞에서 부르게 하니, 왕이 듣고 그 지은이의

  • 태평광기언해 / 太平廣記諺解 [언론·출판/출판]

    중국 송나라 초에 이방 등 12명이 왕명을 받아 엮은 역대 중국 설화집 ≪태평광기≫를 한글로 번역한 책. 필사본. ≪태평광기≫는 중국 북송 태평흥국 2년에 중국 각지에 퍼져 있던 당나라 이전까지의 설화·소설·전기·야사 등을 모두 채집하라는 칙명에 의해 엮어진 전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