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태암서원 / 泰巖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의령군 용덕면 죽전리에 있는 서원. 1789년(정조 13)에 두문동 72현의 한 분인 문원공(文元公) 전조생(田祖生, 1318∼1355)과 그의 손자 회정(晦亭) 전자수(田子壽)를 향사하기 위해 담양전씨(潭陽田氏) 후손들과 지방 유림에 의해 건립되었다. 199

  • 태양극장 / 太陽劇場 [예술·체육/연극]

    1931년 토월회가 당국의 탄압으로 해산되자 1932년 2월에 박승희가 조직한 극단. 창립공연으로 춘강의 향토극 <아리랑 고개>(단막)와 비극 <애곡>(단막), 박진의 희극 <나무아미타불>(2막) 등을 미나도좌에서 상연했다. 공연을 거듭하면서 진용은 계속 늘어났으나 1

  • 태양력 / 太陽曆 [과학기술/과학기술]

    지구가 해의 둘레를 1회전 하는 동안을 1년으로 하는 달력. 달과는 관계없이 태양운행에만 의존하는 역법이다. 양력이라고도 부른다. 1태양년의 길이는 365.2422일이므로 1년을 365일 또는 366일로 한다. 그리고 365일의 해를 평년, 366일의 해를 윤년이라고

  • 태양서원 / 泰陽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함안군 칠북면 영동리에 있는 서원. 1640년(인조 18)에 도곡(道谷) 안정(安侹, 1574∼1636)을 향사하기 위해 건립된 서원이다. 1868년(고종 5)에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된 이후 1950년에 별사(別祠)를 복설하여 매년 음력 3월 10일에

  • 태을주 / 太乙呪 [종교·철학/신종교]

    증산교의 여러 교파에서 사용하는 주문. 원래 태을주는 조선 선조 때 충청도 비인에 살았던 도인 김경흔이 50년간의 도통공부를 마치고 지은 것이라 한다. 태을주는 역(易), 불(佛), 선(仙)의 세 사상이 조화롭게 합하여져 있으며, 말세의 병마를 내쫓아 후천세계를 개벽한

  • 태음력 / 太陰曆 [과학/과학기술]

    달이 차고 기울어지는 현상을 기초로 하여 만든 달력. 음력이라고도 부른다. 역(曆)을 엮는 기본 단위로는 주야인 1태양일(太陽日), 달의 위상(位相) 변화인 1삭망월(朔望月), 계절의 변화인 1회귀년(回歸年)이 있다. 이 중에서 1일과 1삭망월을 취하는 역을 태음력 또

  • 태인향교 / 泰仁鄕校 [교육/교육]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 태성리에 있는 향교. 1421년(세종 3)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태인면 서쪽 3리 지점에 창건되었다. 1510년(중종 5)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으며,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 태자비혼욕정어윤택영가 / 太子妃婚欲定於尹澤榮家 [정치·법제]

    1906년(광무 10) 12월 31일 고종이 태자비의 혼처를 윤택영(尹澤榮) 가로 정하는 문제에 대해 조정의 신료에게 의견을 묻는 조서. 궁내부대신 임시서리 의정부참정대신 박제순(朴齊純)이 문건을 작성하였다. 서체를 보면 이는 문서의 내용에 따라서 후대에 작성된 것이다

  • 태장봉화전가 / 胎藏峰花煎歌 [문학/고전시가]

    이귀자(李貴子)가 지은 규방가사. 1955년 3월에 지었다. 모두 588구이며, 4·4조로 되어 있다. 내용은 겨울이 가고, 꽃피고 새가 지저귀는 화창한 봄을 맞아 여러 벗들과 뜻을 모아 날을 정하여 성대히 단장을 하고, 화전놀이에 필요한 준비물을 마련하여 구경꾼이

  • 태장봉화전가 / 胎藏峰花煎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앞부분의 일부가 훼손되어 불완전본이다. 지어진 연대는 1945년 이후로 추정된다. 작품 내용에 무궁화와 신작로를 닦는 남포소리 운운한 것으로 보아 대한민국정부 수립 이후 강릉시내에 아직 전기가 가정등용으로 공급되지 않은 때인 듯하다. 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