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탕건노래 / 宕巾─ [문학/구비문학]

    제주도지방의 노동요. 탕건을 결으면서 부르는 민요로, 조선시대부터 근래까지 탕건겯기가 극성스러웠던 제주도 부녀자들에 의하여 전승되었다. “ᄒᆞᆫ코두코 걸렴시난/삼백예쉰코를 ᄆᆞ치난/장을보게 뒈였고나.”(한코두코 걸리고 있더니 삼백예순코를 마치니 장을보게 되었구나) 예전

  • 탕관 / 湯罐 [생활/식생활]

    찻물을 끓이는 데 사용하는 주전자. 찻물을 끓이는 데 사용하는 차솥, 차주전자, 철병 등을 모두 탕관이라 한다. 재료로는 석제, 철제, 은제, 동제 등이 있는데 녹이 나지 않는 석제나, 자기류, 은제류가 좋다. 차솥은 다리가 있는 다정과 다리가 없는 다부가 있다.

  • 탕평과 / 蕩平科 [정치·법제]

    조선 영조 때 탕평정책 시행을 기리기 위한 한 방편으로 실시한 특수과거. 부정기 시험의 하나인 정시의 일종이다. 탕평책의 일환으로서 유생들에게 당론을 금하게 할 목적으로 1772년(영조 48)에 처음으로 설시하여 임종주·남학문·서유방 등을 선발한 것이 곧 탕평과의 유

  • 탕평책 / 蕩平策 [정치·법제/정치]

    조선 영·정조대에 당쟁을 막기 위해 당파간의 정치세력에 균형을 꾀하려한 정책. 영·정조대에 꾀해진 탕평정책은 전제왕조대에 격렬한 파당간의 갈등을 어느 정도 해소시켜 정국을 이끌어 나갔다는 점에서 전대보다는 발전된 정책운영이었다고 할 수 있다.

  • 태고암가 / 太古庵家 [문학/한문학]

    고려 말에 보우(普愚)가 지은 한시. 지은이는 고려말의 승려로 백운(白雲)·나옹(懶翁)과 함께 여말3가(麗末三家)라고 불리고 있다. 『태고화상어록 太古和尙語錄』 상권에 수록되어 있다.「태고암가」는 모두 82구로 7언이 주조를 이루며, 단을 바꿀 때 6언으로 된 구가 5

  • 태교 / 胎敎 [종교·철학/유학]

    임신중에 태아에게 좋은 영향을 주기 위해 임산부가 지켜야 할 규제. 좋은 아이를 낳기 위해서 임부는 물론 측근들의 언행까지도 정성을 다해야 태아에게 좋은 영향을 준다는 믿음에서 태교가 생겨났다. 태교문헌으로는 빙허각이씨의 <규각총서>, 사주당 이씨의 <태교신기> 등이

  • 태교신기 / 胎敎新記 [언어/언어/문자]

    사주당 이씨(師朱堂李氏, 1739∼1821)가 1800년(정조 24)에 아기를 가진 여자들을 위하여 한문으로 글을 짓고, 아들인 유희(柳僖)가 음의(音義)와 언해를 붙여 1801년(순조 1)에 이루어진 책. 1821년(순조 21)에 쓴 신작(申綽)의 서문과, 1801년

  • 태권도 / 跆拳道 [예술·체육/체육]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무예를 바탕으로 창시한 국제공인스포츠. 손과 발을 주로 사용하는 전신운동으로, 신체를 강건하게 하고 심신수련을 통하여 인격을 도야하며, 기술단련으로 자신의 신체를 방어하는 호신의 무술이다.태권도는 인간의 본능인 자기방어를 위한 자연발생적인 투기가 체

  • 태권도원 / 跆拳道園 [예술·체육/체육]

    국기 태권도의 수련과 교육, 연구를 위한 태권도 전문 공간. 태권도원은 2014년 4월 24일 개관한 후 설립목적에 따라 태권도진흥을 위한 조사 연구, 태권도 보급과 홍보, 태권도 관련 국내외 네트워크 구축사업, 태권도 관련 프로그램과 상품의 개발 및 보급사업, 태권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