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탄설음 / 彈舌音 [언어/언어/문자]

    조음방식(調音方式)에 의한 자음 분류의 하나. 하나의 조음기관을 다른 조음기관에 단 한 번, 빠르게 대었다가 떼는 동작으로 만들어지는 자음을 가리킨다. 현대 한국어의 ‘노래’처럼 음절초 위치에서 발음되는 /ㄹ/은 탄설음 중 치음(齒音) 혹은 치조음(齒槽音)인 [ɾ]에

  • 탄옹집 / 炭翁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권시의 시문집. 12권 7책. 목판본. 1738년(영조 14) 공주의 도산서원에서 간행되었다. 권1·2에 시 344수, 권3에 소 22편, 권4에 경연강의 1편, 서연강의 5편, 권5∼8에 서 191편, 권9·10에 잡저 26편, 권11에 한거필

  • 탈곡기 / 脫穀機 [경제·산업/산업]

    벼·보리 등의 탈곡을 주목적으로 하는 농구. 넓은 의미로 콩·팥·옥수수·땅콩 등 탈곡과 탈립(脫粒) 또는 껍질을 까는 것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특수한 탈곡기도 포함된다. 탈곡방법은 작물의 종류나 농업의 발달 정도에 따라 다르다. 옛날에는 두 개의 막대기에 한 끝을 끈으로

  • 탐라록 / 耽羅錄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신광수(申光洙)가 지은 한시. 1764년(영조 40) 저자 신광수가 금오랑(金吾郎)으로 제주에 가서 보고 느낀 그곳의 풍토·산천·조수(鳥獸)·항해 상황 등을 한시로 노래한 작품이다. 모두 60여 수로 작자의 문집인 『석북선생문집(石北先生文集)』 권7에 수록

  • 탐라별곡 / 耽羅別曲 [문학/고전시가]

    1750년경에 제주목사 정언유(鄭彦儒, 1687∼1764)가 도내를 순방하고 지은 기행가사. 형식은 4음보 1행을 기준으로 총 120행으로 이루어진 장편 가사 작품으로, 기(起)-승(承)-전(轉)-결(結)의 4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사는 크게 제주의 역사·지리적

  • 탐라요 / 耽羅謠 [문학/고전시가]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민요. 가사는 전하지 않으나 이제현(李齊賢)의 『익재난고(益齋亂藁)』 권4 소악부조(小樂府條)에 노래의 내력과 칠언절구의 해시(解詩)가 수록되어 있다. 이제현의 해시를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밭두덩의 보리야 헝클어 쓰러져도/또한 언덕의

  • 탐정소설 / 探偵小說 [문학/현대문학]

    탐정이 수수께끼 같은 사건을 논리적 과정으로 흥미 있게 풀어가는 소설. 추리소설의 한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김내성(金來成)이 전인미답(前人未踏)의 탐정소설 분야를 개척하였다. 그는 1935년 여름, 탐정소설 전문지 <프로필>의 현상소설 모집에 <탐정소설가의 살인>을

  • 탐진악부 / 耽津樂府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정약용(丁若鏞)이 지은 악부시. 『다산시문집 茶山詩文集』 권4에 수록되어 있다. 1801년(순조 1) 신유교난(辛酉敎難)에 연루되어 강진(康津)에 유배되었을 때 지은 작품으로, 탐진은 강진의 옛 이름이다. 지금까지 「탐진악부」는 「탐진촌요」 15수(문집 『

  • 탐해 / 醓醢 [생활/식생활]

    고기를 잘게 썰어 간장에 조린 반찬. 고기를 포로 떠서 말리고, 잘게 썬 것을 수수로 만든 누룩과 소금에 섞고, 좋은 술에 담가 항아리 속에 100일 동안 둔다. 이전에는 건어를 포로 떠서 만들었으나 숙종 때 이미 돼지고기로 담그고 도미로 밥을 지어그 위에 발랐다. 제

  • 탑돌이 / 塔─ [생활/민속]

    사월초파일이나 큰 재(齋)가 있을 때 사찰에서 거행하는 불교의식 또는 민속놀이. 원래 탑돌이는 승려가 염주를 들고 탑을 돌면서 부처의 큰 뜻과 공덕을 노래하면, 신도들이 그 뒤를 따라 등을 밝혀 들고 탑을 돌면서 극락왕생(極樂往生)을 기원하는 불교의식이었으나, 불교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