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급전사 / 給田司 [경제·산업/경제]

    조선 전기 토지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된 호조 소속의 관서. 고려시대 급전도감과 같이 토지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던 곳이다. 원래 전곡을 관장하던 사평부가 1405년(태종 5)에 혁파되고 그 소관업무는 호조에 귀속되었으며, 뒤이어 육조분장제가 상정될 때 호

  • 급제선생안 / 及第先生案 [언론·출판/출판]

    1720년에 제작된 무과에 급제한 사람의 이름을 기록한 인명록.관찬서. 제주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12호. 1책(32장)으로 구성된 필사본이다. 이 급제선생안은 1720년(숙종 46) 경에 김여강(金汝江)·김우천(金羽遷)·김우달(金羽達)·양유성(梁有成) 등이 건의하여

  • 급주전 / 急走田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각 역에 소속된 급주노에게 주어진 토지. 급주노는 역노(驛奴)로 충원되는데, 공무의 수행상 여행하는 관인의 역마를 견인하거나 긴급한 공무의 전달을 맡는 자였다. 급주전은 민전(民田) 위에 설정되어 해당 결·부의 수만큼의 세를 급주노가 스스로 거둬들이는 이른바

  • 긍구당 / 肯構堂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에 있는 조선전기 영천이씨 이헌과 이현보 관련 주택.시도유형문화재. 정면 3칸, 측면 2칸의 홑처마 팔작지붕건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2호. 이 건물은 본래 영천이씨(永川李氏) 분천동(汾川洞) 입향시조(入鄕始祖)인 이헌(李軒)이 고려 말에 창건

  • 긍구당유고 / 肯構堂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김중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9년에 간행한 시문집. 1880년(고종 17) 김중정의 9대손 김태현(金泰鉉) 등이 편집한 것을 1899년 9대손 김대현(金大鉉)이 간행하였다. 권두에는 1880년에 김상현(金尙鉉)이 쓴 서문이 있고, 권말에 김태현과

  • 긍당고 / 肯堂藁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장석윤의 서(序)·부·기·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2권 2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집과 저술연대가 자세하지 않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부 5편, 서(序) 11편, 기 15편, 제발(題跋) 5편, 권2는 제문 6편, 기우문 4편,

  • 긍암집 / 兢菴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강세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3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3책. 목활자본. 1853년(철종 4) 그의 증손 승형(昇馨)과 족손 연영(連永)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과 권말에 연영과 승형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

  • 긍암집 / 肯庵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이돈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권1에 시 112수, 권2에 봉교문(奉敎文) 1편, 계(啓) 3편, 소 3편, 권3∼5에 서(書) 181편, 권6·7에 잡저 33편, 권8에 서(序) 38편, 권9에 기 13편, 발 17편, 권1

  • 긍와집 / 肯窩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전상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1년에 간행한 시문집. 1책(132장). 연활자본. 1931년 5대손인 태훈(泰勳)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양순(金亮淳)의 서문과 권말에 태훈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시 206수, 상량문 1

  • 긍재집 / 兢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병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2년에 간행한 시문집. 14권 4책. 목활자본. 1942년 그의 동생 병선(柄選)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발문은 없고, 끝에 간기가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권수에 목록이 있고, 권1에 시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