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수원광주이씨월곡댁 / 水原廣州李氏月谷宅 [생활/주생활]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파장동에 있는 조선 말기의 주택. 중요민속자료 제123호. 집은 모두 초가집으로 지어졌는데 튼ㅁ자형의 살림채와 바깥마당, 그 앞의 헛간채, 뒤꼍, 기타 광채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집은 비교적 옛 모습을 지니고 있다으며, 안채 상량대의 묵서명으로
수원수천리참변 / 水原狩川里慘變 [역사/근대사]
1919년 3·1운동에 대한 보복만행으로 일본군대가 수원군 장안면 수천리(지금의 경기도 화성시 장안면 수촌리)에 난입하여 방화, 살상한 사건. 장안면 일대에서 만세운동이 일어났는데, 일제는 이에 대한 보복으로 4월 6일 모든 사람들이 잠들어 있는 새벽 무렵, 일본군대를
수원제암리참변 / 水原堤岩里慘變 [역사/근대사]
1919년 3·1운동에 대한 일제의 보복 행위로 일본 군경이 제암리에 사는 민간인 20여 명을 학살하고 민가 30여 호를 불태운 참변. 1919년 4월 15일 오후, 일본군 보병 11명과 순사 2명이 제암리에 도착하여, 강연이 있다고 속여 기독교와 천도교 남자 신자 2
수위단회 / 首位團會 [종교·철학/원불교]
원불교의 최고 의사결정기관. 원불교 교단통치의 핵심 조직체로서, 교단 최고 결의기관이다. 수위단회는 18인 이내의 원로단원 선거에 의하여 선발된 남녀 각 8인의 단원, 종법사가 특임하는 해외단원 및 단장 1인으로 조직하며 단장은 종법사가 맡는다. 수위단회가 처음 조직된
수정조선문법 / 修正朝鮮文法 [언어/언어/문자]
1923년 4월에 출판된 안확(安廓)의 문법서. 이 책의 권두에 의하여, 이 책에 앞서 1917년 1월에 ≪조선문법≫을 간행하였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으나 초판본은 전하는 것이 없다. 이런 사정으로 그의 문법론은 이 수정재판을 통하여 그 권모를 엿볼 수밖에 없다. 내용
수첩 / 手帖 [언어/언어·문자]
몸에 지니고 다니며 아무 때나 간단한 기록을 할 수 있는 조그마한 공책이다.
수표 / 手票 [경제·산업/경제]
발행인이 지급인에 대하여, 수취인(소지인)에게 일정한 금액의 지급을 위탁하는 유가증권. 우리 나라에서는 1932년 <조선민사령>에 따라 제네바조약에 의거한 일본수표법이 준용됨으로써 비로소 수표가 등장하였다. 그러다가 1962년 1월에 <수표법>이 제정되어, 1963년
수풍수력발전소 / 水豊水力發電所 [경제·산업/산업]
평안북도 삭주군 수풍면 수풍동에 위치하고 있는 발전소. 발전시설용량 70만㎾의 북한 최대의 대표적인 발전소이다. 수풍발전소의 물을 담고 있는 수풍호는 수풍발전소 댐과 함께 생긴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인공호수로서 평안북도 북부지역인 삭주군·창성군·벽동군, 그리고 자강도(
수학원 / 修學院 [교육/교육]
대한 제국 때, 왕족이나 귀족을 교육하는 학교. 1906년 왕족과 귀족의 자제를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던 근대적 교육기관으로, 수학원의 학년은 4월 1일부터 시작하여 다음해 3월 31일에 끝났으며, 교과목은 수신·국어·한문·외국어·수학·역사·이과(理科)·도서(圖書)·
숙혜기략 / 夙惠記略 [언어/언어/문자]
개화기에 출판된 어린 학도를 위한 교훈서. 목활자본. 어렸을 때부터 지혜가 숙달하고 행실이 모범적인 동양의 선인들에 관한 일을 시생(始生)·7월·8월·주세(周歲)와 3세부터 20세까지로 나누어 국한문혼용으로 기록한 내용으로 되어 있다. 편자와 출판연도가 밝혀져 있지 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