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칠정산외편 / 七政算外篇 [과학/과학기술]

    1444년(세종 26) 이순지(李純之)·김담(金淡)이 간행한 역서(曆書). 5책. 활자본. 왕명에 따라 서역(西域)의 회회력법(回回曆法)을 연구하여 해설, 편찬한 책이다. 원나라는 이 회회력 이외도 중국력을 크게 개량한 ≪수시력 授時曆≫을 만들었으며, 당시 중국에는 계

  • 칠종성법 / 七終聲法 [언어/언어/문자]

    ‘ㄱ, ㄴ, ㄹ, ㅁ, ㅂ, ㅅ, ㅇ’의 7개 자음만 종성으로 표기하는 방식. 칠종성법은 종성의 표기에 ‘ㄱ, ㄴ, ㄹ, ㅁ, ㅂ, ㅅ, ㅇ’의 7개 자음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칠종성법은 중세 국어의 팔종성법에서 바뀐 것인데, 팔종성법과 비교하면 종성 표기에서 ‘

  • 칠지도 / 七支刀 [역사/선사시대사]

    일본 나라현[奈良縣] 덴리시[天理市]의 이소노카미신궁[石上神宮]에 소장된 백제 시대의 철제 가지모양의 칼. 철을 두드려서 만들었다. 전체 길이는 74.9㎝이다. 그 중 손잡이 내지 연결부를 뺀 칼날 부분이 66.5㎝이다. 칼의 양쪽 날 부분에 마치 소뿔이나 나뭇가지처럼

  • 칠탄서원 / 七灘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밀양시 단양면 미촌리에 있는 서원. 1743년(영조 19)에 진암서당(眞巖書堂)으로 건립하였다가, 1844년(헌종 10) 지방유림의 공의로 손기양(孫起陽)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서원으로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

  • 침굉가사 / 枕肱歌辭 [문학/고전시가]

    조선후기 승려 윤현변의 불교가사(佛敎歌辭) 「귀산가」·「태평곡」·「청학동가」 등 3편을 수록한 불교가사집. 단권(單卷). 59장. 목판본인 『침굉집』은 제자인 약휴가 기록해 둔 것과 구비상태의 내용을 합하여 만든 것으로서, 와전(訛傳)된 부분과 자구의 오(誤)·탈(脫)

  • 침례교 / 浸禮敎 [종교·철학/개신교]

    개신교 교파의 일종. 대부분의 개신교와 기본적으로 신앙을 같이한다. 다만 세례를 행할 때 물을 뿌리거나 붓지 않고 '침례'로서 하는 것을 특징으로 삼는다. 침례란 세례를 행할 때 물속에 몸을 잠그는 것을 말한다. 교회의 조직면에서는 회중주의적 성격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

  • 침류각 / 枕流閣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번지 경복궁 후원에 있는 누각건물. 1900년대 초에 지어진 것으로 북궐의 부속건물로, 특징은 전후면 중앙에 불발기창을 두고 상하에 띠살과 교살로 구성된 창호들을 설치하였다는 점이다.

  • 침향춘 / 沈香春 [예술·체육/무용]

    조선시대 순조 때 창작된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 이 춤은 제목 그대로 봄향기를 만끽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의 『순조무자진작의궤 純祖戊子進爵儀軌』(1828)에 의하면, 두 사람의 대무(對舞)로서, 두 개의 모란화병(牧丹花甁)을 가운데 두고 꽃을 어루만지다가 꽃

  • 카누 / 카누 [예술·체육/체육]

    길쭉하고 선두와 선미가 뾰족한 배를 타고 노(櫓)를 저어 속도를 겨루는 수상경기. 강·호수·댐 등 흐름이 잔잔한 곳에서 겨루거나 격류에서 인공장애물을 설치하여 겨루기도 한다.카누경기는 배의 종류에 따라서 카약(kayak, 약호 K)과 캐나디안 카누(canadian ca

  • 카라마조프의 형제들 / Brat'ya Karamazovy [문학/현대문학]

    1879-1880년에 발표된 도스토예프스키의 장편소설. 생애를 통해 작가를 괴롭혀 온 사상적 ·종교적 문제, 인간의 본질에 관한 사색을 장대한 규모와 긴밀한 구성으로 집대성한 걸작이나, 미완성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