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충주세계무술축제 / 忠州世界舞術祝祭 [예술·체육/체육]

    충주시·(재)중원문화체육관광진흥재단·(사)세계무술연맹 공동 주관으로 매년 가을 충청북도 충주시 세계무술공원에서 개최되는 유네스코 공식 후원 문화축제.축제. ‘세계무술과 문화의 만남’이라는 주제로 한국의 전통무예인 ‘택견’의 세계화를 위해 1998년부터 시작되었다. 세계

  • 충주수력발전소 / 忠州水力發電所 [경제·산업/산업]

    충청북도 충주시 목행동과 동량면 조동리에 있는 발전소. 충주 다목적댐은 한강수계인 남한강 상류, 충주시 동북쪽 약 9㎞ 지점에 위치하며 댐의 좌안은 목행동, 우안은 동량면과 접하고, 그 규모는 높이 97.5m, 길이 447m, 발전시설용량400㎿의 제1수력발전소, 12

  • 충주팔봉서원 / 忠州八峯書院 [교육/교육]

    충청북도 충주시 대소원면 팔봉안길(문주리)에 있는 서원. 1582년(선조 15)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자(李耔)·이경연(李慶延)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고 1612년(광해군 4) 김세필(金世弼)·노수신(盧守愼)을 추가 배향하였다. 1672년(

  • 충주향교 / 忠州鄕校 [교육/교육]

    충청북도 충주시 교현동에 있는 향교. 1398년(태조 7)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29년(인조 7)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1897년 중수하였고, 1936년 군수 김석영(金錫永)

  • 충찬위 / 忠贊衛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의 중앙군으로서 오위의 충좌위에 소속되었던 특수 병종. 1456년(세조 2)에 처음 설치된 것으로 원종공신의 자손들을 편입하게 한 특권적인 병종이었다. 나중에는 ≪경국대전≫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환관입후자 및 양반첩자의 종친가혼취자 등도 충찬위에 소속되는 특전

  • 충청감사 / 忠淸監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사법·행정·군사적 권한을 지닌 종2품 관직. 조선 초기에는 일반 행정과 군정이 구별되어 있었으나, 태종 이후 감사가 병마절도사·수군절도사·순찰사를 겸하였다. 또한 감영 소재지의 부윤(府尹)이나 목사(牧使)의 직책까지도 겸하게 됨으로써

  • 충청도 / 忠淸道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와 충청북도를 합하여 부르는 이름. ‘충청’은 충주와 청주의 머리 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이다. 1550년(명종 5)에 청공도로 바꾸고, 1613년(광해군 5)에 공청도로, 1628년(인조 6)에 공홍도로, 1646년에 홍충도로, 1656년(효종 7)에

  • 충청도방언 / 忠淸道方言 [언어/언어/문자]

    충청남북도에서 사용되는 방언. 충청도 방언의 자음은 19개(ㅂ, ㅃ, ㅍ ; ㄷ, ㄸ, ㅌ ; ㄱ, ㄲ, ㅋ ; ㅅ, ㅆ ; ㅎ ; ㅈ, ㅉ, ㅊ ; ㅁ, ㄴ, ㅇ ; ㄹ)이다. 단모음은 10개(ㅣ, ㅔ, ㅐ ; ㅡ, ㅓ, ㅏ ; ㅜ, ㅗ ; ㅟ, ㅚ)로서 대부분의 지

  • 충효선인창길록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 필사본. 낙질본. 본래는 상당한 장편의 권수가 많은 작품인 것으로 짐작되나, 현재는 중간의 제4권만이 장서각에 있다. 작품의 말미에 “뎡유 이월 이십이일 ᄉᆞ동 등셔 박춘실 등셔”의 필사기와, ‘경몽셔’라는 제목으로 돌아가신

  • 충훈부 / 忠勳府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공신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였던 관서. 세조 때 사를 부로 승격시켰다. 충훈사는 대군과 부원군의 아문이기도 하므로 1466년(세조 12) 부마부의 예에 따라 충훈부로 승격시켰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당상관인 군은 종2품부터 정1품까지 임명되었고, 조관으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