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충렬실록 / 忠烈實錄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전기류(傳記類) 정덕선(鄭德善) 등편, 목판본, 미상, 1책(영본), 전2권 2책. 진주창렬사(晋州彰烈祠)에 모셔진 인물 등 임진왜란 당시의 실기 등을 모아 엮은 책이다.
충무체육관 / 忠武體育館 [예술·체육/체육]
경상남도 통영시 북신동에 있는 시립체육관. 통영시에는 오래전부터 개인소유의 실내체육관이 명륜동에 있었으나 시설이 낡고 규모가 협소하여 1988년 1월 충무시(현재 통영시)의 예산으로 문을 열게 되었다.면적은 797평이며, 농구·배구의 각종 실내경기와 새마을경진대회 등
충북체육관 / 忠北體育館 [예술·체육/체육]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사직동에 있는 시립 종합실내체육관. 1974년 11월에 준공되었다. 체육시설의 빈곤으로 체육발전이 침체되었던 충청북도에서는 경기장과 연습시설의 확충을 오랜 숙원사업으로 추진, 체육관건립추진위원회가 구성되어 그 결실을 보게 되었다.건평 2,825평
충신단 / 忠臣壇 [예술·체육/건축]
제단. 강원도 영월에 소재한 단종(端宗)의 무덤인 장릉(莊陵) 아래에, 단종에게 충절을 한 여러 신하들을 배향하기 위해 설치한 단이다.
충의교위 / 忠毅校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무신의 정5품 하계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무산계가 제정될 때 정5품 상계는 충의교위, 하계는 현의교위로 정하였다. 그런데 ≪경국대전≫에서는 무산계 상계의 충의교위는 과의교위로, 하계의 현의교위는 충의교위로 개칭되어 ≪경국
충주 / 忠州 [지리/자연지리]
지명. 신라 때 중원경(中原京)으로 고려 태조 23년에 충주(忠州)로 개칭. 고려 성종조에 12목(牧)의 하나로 되고, 현종조에 8목(牧) 중의 하나로 조선왕조에 들어서도 주목(州牧)으로 답습된 것이다. 별호를 대원(大原)이라고 하였다.
충주광산 / 忠州鑛山 [경제·산업/산업]
충청북도 충주시 이류면(지금의 대소원면) 만정리에 있었던 광산. 규모의 층상 혹은 렌즈상의 광체의 주향(走向)은 대체로 N-S의 방향을 취하고, 폭은 2∼20m, 길이는 5∼90m 정도이다. 광산은 본산·창동(倉洞)·검단(檢丹)·갈마지구로 구분된다. 이 중 본산지구는
충주구황절요 / 忠州救荒切要 [경제·산업/산업]
1541년(중종 36) 10월 안위(安瑋)·홍윤창(洪胤昌) 등이 지은 구황서(救荒書). 1권. 사본 이 책은 서문·목차·발문 등이 없는 일종의 절목(節目)형태로 구성되어 있는데, 27개항이 30면에 필사되어 있다. 이 책은 광복 이후 일본에서 반환문화재(返還文化財)로
충주산업단지 / 忠州産業團地 [경제·산업/산업]
충청북도 충주시 목행동·용탄동·금릉동 일대에 있는 산업단지. 958년 국내 유일의 충주비료공장을 유치하였으나 도시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태백권지역의 지방공업개발계획에 따라 1979년 11월 26일 건설부 고시 제155호에 의거하여 지방공업개발 장려지구로 지정되었고, 1
충주석 / 忠州石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권필(權韠)이 지은 한시. 오언과 칠언의 잡언체(雜言體)로 모두 24구이며 『석주집(石洲集)』 권2에 수록되어 전한다. 「충주석」 제 1∼5구에서는 우선 충주석을 빗돌로 다듬어 실어나르는 상황을 묘사하였다., 제 6구에서 세태에 아부하는 문장가들을 비판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