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출새곡 / 出塞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에 조우인(曺友仁)이 지은 기행가사. 형식은 4음보 1행을 기준으로 모두 82행이다. 북새(北塞) 지방의 출행(出行)을 읊은 노래이다. 작자가 56세 되던 1616년(광해군 8) 가을에 함경도 경성판관(鏡城判官)으로 떠날 때, 족형(族兄) 탁(倬)으로부터 정

  • 출향 / 黜鄕 [사회/촌락]

    패륜행위를 했거나 동규(洞規)를 어긴 사람에 대하여 볼기를 때리고 그 마을에서 살지 못하도록 내쫓는 촌락사회의 자치적 제재방법. 전통적 촌락사회에서 국법이나 향약(鄕約)의 과실상규(過失相規)에 선행하는 관행이었는데, 집을 헐고 고을에서 축출한 사회적 제재방식의 하나였다

  • 춤본 / 춤本 [예술·체육/무용]

    한국무용가 김매자가 발표한 창작무용이자 춤 방법론. 한국무용가 김매자는 1980년대 후반에 발표한 춤본 시리즈를 통해 한국무용 동작의 구조적인 모형화 및 정형화 작업을 추구하였다. 「춤본」I(1987)과 「춤본」II(1989)가 있다.「춤본」I은 승무의 염불, 타령,

  • 춤사위 / 춤사위 [예술·체육/무용]

    ‘춤과 춤의 사이, 춤동작, 춤을 작위한다, 춤가락이 모아진 것’ 등의 의미를 지닌 춤을 구성하는 기본단위.동작. 우리 춤의 성격이 획일적이고 기계적인 것보다는 다양과 개성을 멋으로 삼는 데 그 특징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즉흥적이라는 의미가 형태적 근거 없이

  • 춤소극장운동 / ─小劇場運動 [예술·체육/무용]

    1980년 공간사랑에서 실험적 춤창작 운동이 시작된 이래 소극장을 중심으로 펼쳐진 예술운동. 1980년대 가장 주목할 현상인 춤의 창작역량 고양은 소극장에서의 실험적 창작공연을 활성화시키는데 큰 역할을 담당했다. 이 시기 사설 소극장으로는 공간사랑과 미리내소극장 등이

  • 춤작가십이인전 / 춤作家十二人展 [예술·체육/무용]

    한국현대춤협회에서 매년 4월 서울에서 개최하는 무용 예술공연, 무용제. 신인무용가를 발굴하는 동시에 중견무용가들의 꾸준한 활동을 지원할 목적으로 1987년부터 개최하고 있는 무용제이다. 매년 4월 아르코예술극장에서 개최되며, 한국무용·현대무용·발레 등 각 부문에서 탄탄

  • 춤패불림 / 춤패불림 [예술·체육/무용]

    이화여자대학교 무용과 출신의 5인 무용수들이 만든 동인 집단. 1985년 이화여자대학교 무용과 출신의 이은영, 이지현 등이 박용구, 채희완의 영향으로 창단 후 마혜일, 김옥희, 김미선 등이 합류하여 만든 단체이다. 이 땅의 민중들과 함께 호흡하며, 민중의 힘이 될 수

  • 충남탄전 / 忠南炭田 [경제·산업/산업]

    충청남도 예산군·홍성군·청양군·부여군·서천군·보령시에 걸쳐 있었던 탄전. 탄전을 이루고 있는 퇴적암류는 쥐라기 대동계(大同系) 반송통(盤松統)에 해당되며, 하부로부터 하조층(下鳥層)·아미산층(峨嵋山層)·조계리층(造溪里層)·백운사층(白雲寺層)·성주리층(聖住里層)으로 구성

  • 충량과 / 忠良科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영조 때 실시한 특수 과거. 1764년(영조 40) 처음으로 시행된 정시의 일종. 병자호란 때 청나라에 항거하다가 순절한 이들의 충절을 기리고 아울러 그 후손들을 위로할 목적으로 처음 실시하였다. 응시자는 삼학사·김상용·김상헌 등의 후손들이었지만, 임진왜란 이후

  • 충렬소오의 / 忠烈小五義 [문학/고전산문]

    청나라의 소설 『소오의(小五義)』의 번역본. 한글필사본. 필사자 미상. 『충렬협의전(忠烈俠義傳)』의 속서(續書)로 1890년(광서 16) 청나라에서 간행된 『소오의(小五義)』(124회)를 번역한 책이다. 『충렬소오의』의 내용은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뉜다. 전반부 40회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