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고려지 / 高麗志 [역사/고려시대사]

    원나라 집현태학사 상의중서성사 왕약이 사신으로 고려에 와 견문한 내용을 기록한 견문록. 모두 4권으로 되어 있었다. 현전하지 않으므로 정확한 저작연대·체재·내용 등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 고려지 / 高麗志 [역사/고려시대사]

    고려시대에 있었다고 전하는 지리서. 모두 7권으로 되어 있었다고 하나 현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저자·편찬연대·체재·내용 등에 관하여는 전혀 알 수 없다. 다만, 1091년(선종 8) 중국에 사신으로 갔던 이자의(李資義)에게 송나라 철종(哲宗)이 구입을 요청하였던 12

  • 고려처용가 / 高麗處容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와 연대 미상의 고려속요. 가사로 볼 때는 4단 또는 5단 구성, 악곡으로 볼 때는 전가·후강·대엽의 강엽구조를 2번 반복.「고려처용가」는 향가 「처용가」와 달리 처용의 형상에 대한 묘사와 찬양, 역신에 대한 위협적인 언술, 처용에 대한 역신의 발원 등이 서사적 구

  • 고려첩장불심조조 / 高麗牒狀不審條條 [역사/고려시대사]

    1271년 일본의 가마쿠라막부에서 삼별초의 진도(珍島) 정부가 보낸 외교문서를 12조목으로 정리한 문서.외교문서. 삼별초 진도 정부가 일본에 보낸 원문서가 남아 있지 않은 상태에서 작성 주체의 의문 대상이 된 부분만을 단편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그래서 전후 문맥을 알

  • 고려청자 / 高麗靑磁 [문학/현대문학]

    고유섭(高裕燮)의 수필집. 원래 제목은 ‘조선의 청자(朝鮮の靑瓷)’로 1939년 일본 동경 보운사(寶雲舍) 동운문고(東雲文庫)에서 일문으로 간행한 것을 진홍섭(秦弘燮)이 ‘고려청자’로 번역하여 1954년 을유문화사에서 출간하였다. 뒤에 1977년 삼성문화재단에서 재간행

  • 고려치명사략 / 高麗致命史略 [종교·철학/천주교]

    예수회 심칙관 신부가 샤를르 달레 신부의 Histoire de l'Eglise de Corée를 한문으로 번역하여 편집한 천주교서.역사서. 이 책은 한국 천주교회의 창립 과정에서부터 병인 박해기까지의 교회사를 다루고 있는데, 박해에 맞서 불굴의 의지로 신앙을 지키다가

  • 고령 / 古寧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옛 지명. 원래 고령가야(古寧加耶)인데 신라가 이를 병합하고 고동람군(古冬攬郡, 또는 故陵縣)이라 하였다. 757년(경덕왕 16) 고령으로 바꾸고 가선(嘉善)ㆍ관산(冠山)ㆍ호계(虎溪)를 영현(領縣)으로 하였다. 961년(광종 12) 함녕군(咸寧郡)

  • 고령 사부동과 기산동 요지 / 高靈沙鳧洞─箕山洞窯址 [예술·체육/공예]

    경상북도 고령군 사부동과 기산동에 위치하여 고려 말부터 조선 전기에 걸쳐 도자와 기와를 굽던 가마터. 사적 제510호. 고려 말에 개요(開窯)하여 조선 전기까지 운영되었던 가마터로, 본래 사적 제71호의 성산사부동도요지(星山沙鳧洞陶窯址)와 사적 제72호의 성산기산동도요

  • 고령 안림수 / 高靈 安林藪 [경제·산업/산업]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안림리에 있는 숲. 『경상도읍지』를 보면 ‘고령임수안림수좌현남십리(高靈林藪安林藪左縣南十里)’라는 기록이 있고, 『동국여지승람』에도 안림역(安林驛)이라는 역원(驛院)의 기록이 있다. 이 숲은 대가야읍에서 남쪽으로 4㎞ 되는 안림천(安林川)의 강가에

  • 고령 장기리 암각화 / 高靈 場基里 巖刻畵 [역사/선사시대사]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장기리에 있는 선사시대의 바위그림 유적. 대구에서 고령으로 가는 도로변의 금산재[錦山嶺]에서 남으로 뻗은 구릉에 석기 유적지가 있고, 구릉 동쪽 산록의 저지에는 고인돌이 분포되어 있다. 이 바로 이웃의 장기리 알터[卵峴]마을에 바위그림 유적이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