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금화판 / 禁火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화재가 났을 때 소화에 참가할 수 있는 자격을 증명하는 널판. 한성부에서 화재가 나면 민·관·군이 동원되어 소화하였다. 관청에서는 구화패(救火牌)를 지급, 소화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민간인에게는 통(統)마다 통수에게 금화판을 지급하여 이것을 표로 통

  • 금횡과 / 金橫瓜 [정치·법제]

    금색을 칠한 참외 모양의 의장. 나무로 만든 참외 모양의 표면에 금칠을 하고 붉은 장대 위에 가로로 꽂았다. <국조오례의>에 의하면, 대가가 움직일 때 은립과ㆍ금립과 다음에 금횡과 2개와 은횡과 4개를 좌우로 나누어 은교자 위에 올려놓고 따라간다고 하였다.

  • 급가 / 給假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상·혼·병 등의 사고를 당한 관원에게 주는 휴가제도. 이 제도는 문관은 이조, 무관은 병조, 종친은 종부시에서 관장하였다. 이와 같은 관원의 휴가는 모두 왕에게 보고하도록 되어 있었는데, 다만 시향(時享)·식가(式假)·복제·신병의 경우는 왕에게 보고하지 않았

  • 급건재만록 / 及健齋漫錄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이시수의 시·의계·교서·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본집은 8권 6책, 목활자본. 별집은 2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으며, 간행연대 및 편집·간행자는 미상이다. 문집의 간행은 저자가 영의정을 역임한 고관인 만큼 생전에 되었으나, 유루(遺漏)된 부

  • 급고유고 / 汲古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학자 이홍남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17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2책. 목판본. 1617년(광해군 9) 손자인 정신(廷紳)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8대조인 당(唐)으로부터 저자에 이르기까지의 세계(世系)와 행략(行略)이 있고, 권말에 정신의 발문이

  • 급고재문집 / 汲古齋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김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5년에 간행한 시문집. 1855년(철종 6)에 김담의 9대손 김인섭(金麟燮)이 편집·간행하였으며, 1897년에 김담의 11세손 김진호(金鎭祜)가 중간하였다. 김인섭의 서문과 권계형(權繼亨)·김진호의 발문이 있다. 권1∼5

  • 급보 / 給保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군역 및 여러 종류의 국역 이행자에게 그 의무 이행 기간의 비용 마련을 위해 일정한 수의 보인을 배정해준 제도. 보인의 수는 국역의 종류에 따라 달랐다. 초기에는 자연가호를 3정(丁) 1호(戶)의 기준으로 파악해 호 단위로 호수와 봉족의 관계를 설정하다가,

  • 급사 / 給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동반 종8품 토관계의 위호. 직무랑(直務郎)이 받는 관계이었다. 영흥부의 전례서(典禮署)·전주국(典酒局)에 각각 1원, 평양부의 전례서·전주국에 각각 1원, 영변대도호부·경성도호부(鏡城都護府)의 전례서·전주국에 각각 1원, 의주목, 회령도호부·경원도호부·종성

  • 급산집 / 岌山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안영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7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937년에 아들 승윤(承胤)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말에 정태진(丁泰鎭)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는 부(賦)·시, 권

  • 급유방 / 及幼方 [과학기술/의약학]

    1749년(영조 25)에 조정준이 편찬한 소아과전문 의서. 13권 6책. 필사본. 이 책의 특징은 당시 중국 의서의 모방을 탈피하여 독자적이고 새로운 내용을 체계적으로 기술하였다는 점이다. 특히, 저자는 먼저 질병을 파악하여 생약을 투여하였으며, 오랜 경험에 의하여 우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