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수도가 / 修道歌 [문학/고전시가]

    근대기 가집에 나옹화상 작품으로 전하는 불교가사. 3·4조 위주 4음보 율격의 가사. 선 수행의 과정과 득도 후의 열락을 노래한 불교가사이다. 표제는 「나옹화상수도가」이며 「나옹화상증도가」의 이본이다. 「나옹화상증도가」의 서두에서 화자는 청산 깊은 곳에 초옥을 지어두고

  • 수륜원 / 水輪院 [경제·산업/산업]

    구한말 관개 등의 일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청. 1899년 '대한국제'가 제정, 반포되면서 궁내부에 소속되어 관개 및 관수 등의 업무를 맡아보았던 수륜과가 있었는데, 이것이 1902년에 수륜원으로 개칭되었다. 관원으로 총재 1명, 부총재 1명, 국장 1명, 과

  • 수리조합반대운동 / 水利組合反對運動 [역사/근대사]

    일제강점기에 일제가 조선농민의 지배와 수탈을 위해 설치한 수리조합에 반대하여 벌인 조선농민의 항쟁. 수리조합반대운동은 산미증식계획의 시행 초기부터 일어나 그것이 끝난 1934년까지 계속되었다. 첫 수리조합반대운동은 1921년 9월전라북도 익산에서 있었던 익옥수리조합과

  • 수민원 / 綏民院 [역사/근대사]

    1902년 외국여행권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궁내부 산하 관서. 궁내부의 부속기관으로 설치된 수민원의 관원에는 칙임관인 총재, 부총재, 감독 각 1인, 주임관인 총무국장 1인과 참서관 3인이 있었고, 참서관이 비서과장, 문서과장, 회계과장을 각각 맡았다. 그 밖에

  • 수봉정 / 秀峯亭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괘릉리에 있는 근대기의 목조건축. 경상북도 기념물 제102호. 일제 침략기에 핍박받는 경주 지역 조선민중에게 배움의 터전과 의료 혜택을 제공하기 위하여 건립된 건물로 학교이자 의원이었다. 1924년에 2층으로 창건되었다가 1953년에 단층으로 개

  • 수산문집 / 睡山文集 [종교·철학/유학]

    김휘철의 문집. 활자본, 발:박승진(1924), 박위규, 7권3책. 1925년 경상북도 영주에서 김태현등이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권1․2에 시 202수, 권3․4에 서 79편, 권5에 잡저 10편, 서 8편, 기 5편, 발 8편, 권6에 상량문4편, 애사 1편, 축문

  • 수상신주광복지연의 / 繡像神州光復志演義 [문학/고전산문]

    중국 근대역사소설 『수상신주광복지연의(繡像神州光復志演義)』의 번역본. 필사본. 필사자 미상. 중국 근대 역사소설 『수상신주광복지연의』(15권 16책, 120회)를 번역한 책이다. 중화민국 원년(1912) 9월에 상하이[上海]의 신주도서국(神州圖書局)과 광익서국(廣益書局

  • 수신동경가 / 壽辰同慶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전체의 분량은 2율각(二律刻) 1구로 헤아려 195구로, 형식은 4·4조가 절대 다수를 차지하며, 율조도 아주 단조롭다. 지은이는 내용에 의하면 후조당(後凋堂)의 후손이며 이황(李滉)의 후손가의 며느리로 추정된다. 내용은 “어와 친○들아/이

  • 수신사 / 修信使 [역사/근대사]

    강화도조약 이후 일본에 파견한 외교사절. 이전까지는 조선에서 일본에 파견하는 사신을 통신사(通信使)라 불렀으나, 1876년 강화도조약 이후 수신사로 바뀌었다. 이는 양국이 근대적 입장에서 사신을 교환한다는 뜻인데, 1876년과 1880년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 이

  • 수운가사 / 水雲歌辭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집. 1책(총 140면). 국한문 혼용 필사본. 수운(水雲)이라는 최제우(崔濟愚)의 호를 가사집 이름으로 한 것으로 보면 『수운가사』는 최제우의 동학사상을 이어 받아 전수한 가사집이라고 할 수 있다.『수운가사』에는 10편의 가사작품이 수록되어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