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역사 2,226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역사
  • 평안남도청투탄의거 / 平安南道廳投彈義擧 [역사/근대사]

    1920년 8월에 독립군이 평남도청에 폭탄을 투탄한 사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명을 받은 오동진 총영장은 안경신, 장덕진, 박태열, 문일민 등에게 미국국회의원단이 평안남도청을 통과할 때 일제의 식민통치기관에 폭탄을 투척하도록 하였다. 이에 평남도청 제3부(경찰부) 건물에

  • 평양낙랑리팔십오호분 / 平壤樂浪里85號墳 [역사/선사시대사]

    북한 평양특별시 낙랑구역 토성동에 있는 낙랑(樂浪)시기의 덧널무덤[木槨墳]. 대동강 남안의 낙랑구역 토성동 일대에는 낙랑군의 치소터[治址]로 추정되는 토성(土城)과 관련된 2,000여 기 이상의 덧널무덤과 벽돌무덤[塼築墳]등이 밀집 분포하고 있다. 낙랑리 제85호분도

  • 평양만경대고분 / 平壤萬景臺古墳 [역사/선사시대사]

    북한 평양시 만경대구역에 있는 초기철기시대의 움무덤[土壙墓]. 1959년 봄 만경대에서 학생들이 학교 주변 정리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어 그 해 6월 16일부터 19일까지의 기간에 걸쳐 북한의 과학원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 고고학연구실에 의해 발굴조사되었다. 무덤은

  • 평양용산리고분 / 平壤龍山里古墳 [역사/선사시대사]

    평양시 만경대구역 용산리에 있던 토광묘(土壙墓). 용악산에서 동쪽으로 뻗은 능선상의 평탄지에서 1961년 8월에 조사되었는데 발굴, 조사 전에 이미 대부분이 파괴되어 원형은 알 수 없다. 목재와 흙이 유착, 부식되어 생긴 부식토층의 상태로 보아 남북길이 약 2.3m,

  • 평양학병의거 / 平壤學兵義擧 [역사/근대사]

    일본군에 강제징집된 학병들의 탈출기도 사건. 1944년 학병으로 징집당하여 평양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 제42부대에 배속된 김완룡, 박성화, 최정수 등은 일본군을 탈출하여 항일전선에 참가하기로 하고 비밀결사를 조직하였다. 이들은 같은 부대에 배속된 학병 30여 명을 규

  • 평양휴암리주거지 / 平壤休岩里住居址 [역사/선사시대사]

    평양시 사동구역 휴암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주거지 유적. 1959년 4월평양시 동북쪽 대동강 남쪽의 목재저장소에서 유물이 출토됨에 따라 북한의 과학원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에서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1기(基)의 주거지를 확인하였다. 주거지는 일부분만 확인된 것이어서 전체

  • 포병대 / 砲兵隊 [역사/근대사]

    구한말 설치되었던 중앙군대의 화기부대. 1897년에 황권호위를 위한 시위대 1개 대대가 편제되고, 이듬해 시위연대로 확충 개편되면서 그 해 7월 신식 화기부대인 포병 1개 중대가 시위연대에 설치, 배속되었다. 신설된 포병중대는 병력을 보병 가운데에서 선발하였으며, 회선

  • 포천영송리선사유적 / 抱川永松里先史遺蹟 [역사/선사시대사]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영송리에 있는 원삼국시대의 생활 유적.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지역도 대부분 골재 채취로 유구가 파괴되어 유적의 일부 양상만이 확인되었는데 5기의 원삼국시대 주거지, 토기출토 유구, 조선시대 건물지 추정유구 등이 그것이다. 영송리 유적에서 가장 특징

  • 포항옥성리고분군 / 浦項玉城里古墳群 [역사/선사시대사]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옥성리에 있는 신라시대의 고분군. 고분군은 1993년 영일군이 흥해읍청사 및 체육관을 건립코자 부지정지작업을 하던 중에 다수의 매장문화재가 출토되고 있음이 국립경주박물관에 알려져 수습 발굴조사되었다. 국립경주박물관은 1994년에 약 5개월간

  • 표영준 / 表永俊 [역사/근대사]

    1896년∼미상. 독립운동가. 일명 최승환(崔昇煥). 평안남도 강동 출신. 1919년 3·1운동 직후 만주로 망명하여 활동하다가 국내에서 항일운동을 전개할 목적으로 귀국하였다. 1920년 임시정부 특파원 김석황(金錫璜)과 평양 기홀병원(紀笏病院: 미국인이 경영하는 병원

페이지 / 223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