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춘천차전놀이 / 春川車戰─ [생활/민속]

    강원도 춘천과 가평 지방에서 행해지는 민속놀이. ≪동국세시기 東國歲時記≫ 상원조(上元條)에 의하면 “춘천 민속에 차전이 있는데, 외바퀴수레를 동리별로 편을 나누어 앞으로 밀고 나와 서로 싸움으로써 그해의 점을 친다. 쫓기는 편이 흉(凶)하다. 가평의 풍속도 또한 그렇다

  • 춘천향교 / 春川鄕校 [교육/교육]

    강원도 춘천시 교동에 있는 향교. 조선시대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594년(선조 27) 부사 서인원(徐仁元)이 중건하였다. 1601년(선조 34) 부사 허당(許鐺)이 명륜당을 증축,

  • 춘추관 / 春秋館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에 시정의 기록을 관장한 관서. ≪경국대전≫의 춘추관 직제는 영사(영의정이 겸임) 1인, 감사 2인, 지사(정2품) 2인, 동지사(종2품) 2인, 수찬관(정3품), 편수관(정3품∼종4품), 기주관(정5품·종5품), 기사관(정6품∼정9품) 등으로 구성되어

  • 춘추대경론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산문. 1책. 국문필사본. 공자와 증자의 문답형식을 통하여 도덕과 천문지리, 고금 역대의 흥망성쇠와 고금인물의 현불초(賢不肖)를 논한 내용으로서, 어린이나 부녀를 위한 교재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필사본의 뒷부분에 ‘ᄉᆡ집초ᄒᆡᆼ편지’·‘ᄉᆡ집답

  • 춘추열국지 / 春秋列國志 [문학/고전산문]

    중국소설 『열국지전(列國志傳)』의 번역본. 『춘추열국지』는 상(商)나라의 마지막 왕이던 주왕이 미녀 달기(妲己)에게 빠져 나라가 멸망에 이르는 과정, 이에 주(周)나라가 세워지고, 이후에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로 중국이 분열되는 상황, 이 과정에서 출현한 여러 영웅

  • 춘추좌전두임합주 / 春秋左傳杜林合註 [종교·철학/유학]

    춘추류(春秋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3책, 판종은 목판본이다. 규격은 14.2×9.3cm, 반곽은 9.5×7.2cm이다. 판심제는 좌전(左傳)이다. 주(周)나라의 좌구명(左丘明)이 저술하였고, 진(晉)나라의 두예(杜預)가 주석(註釋)하였다. 권수는

  • 춘풍가 / 春風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종 때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시조. 1수. 1542(중종 37)∼1544년에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죽계구지(竹溪舊志)』에 수록되어 있다. 송나라의 유학자 정호(程顥)의 고사를 전형적인 모범으로 삼고 그를 따르고자 하는 감흥을 노래하였다. 즉, 정호가 온종일

  • 춘풍상사별곡 / 春風相思別曲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1책(186면). 국문필사본. 소설 「서유록」(정향전)과 함께 필사되어 있다. 4음보의 정격가사의 음보율을 보여주며, 11,000여 자에 달하는 장편이다. 전편에 걸쳐 헤어진 님에 대한 애끊는 상사의 마음을 노래하고 있다. 조선 후기에 애정문제

  • 춘향전 / 春香傳 [예술·체육/연극]

    1903년 가을 강용환이 창극화하여 원각사에서 공연한 작품. 이 시초의 <춘향전>은 한마디 대사도 없었고 장치 소품도 없이 배경으로 둘러친 백포장 앞에서 극중인물로 분장한 남녀 명창이 역할에 따라 발림을 하면서 소리를 하는 분창의 형식이었다. 전편을 앞과장 뒷과장으로

  • 춘효음 / 春曉吟 [문학/고전시가]

    1645년(인조 23)윤선도(尹善道)가 지은 시조. 「산중속신곡(山中續新曲)」의 하나로 작자의 문집인 『고산유고』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가 2차 유배에서 풀려나 금쇄동(金鎖洞)에서 자연을 벗삼고 은둔생활을 할 때 그의 유유자적한 심회를 노래한 것인데, 추운 겨울이 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