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추재집 / 秋齋集 [언론·출판/출판]

    집부(集部) - 별집류(別集類) 조수삼(趙秀三) 저, 김진항(金晋恒) 편, 신연활자본, 보진재, 1939, 8권 4책. 조선후기 문장가 추재 조수삼의 시문집이다. 손자인 중묵(重默)이 유고를 정리하여 간행하였다.

  • 추정수 / 秋丁洙 [역사/근대사]

    1883-미상. 일제강점기 항일운동가. 제주도 북제주군(北齊州郡) 추자면(楸子面) 대서리(大西里)에서 태어났다. 어부로 생활을 하던 중 1926년 5월 관제어업조합(官制漁業組合)의 횡포와 착취에 대항한 저항운동이 일어났다. 당시 일본 어부들은 유자망(流刺網) 어업으로

  • 축구 / 蹴球 [예술·체육/체육]

    11명이 한 팀이 되어 발로 공을 차서 몰고들어가 상대편 골문에 넣음으로써 승패를 겨루는 경기. 발을 주로 사용하며 스피드가 있고, 각종 기술의 순간적인 변화를 필요로 하는 남성적인 운동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한 팀이 11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팀의 조직력과

  • 축국 / 蹴鞠 [예술·체육/체육]

    가죽 주머니로 공을 만들어 쌀겨나 털 또는 공기를 넣어 발로 차던 민속놀이. 우리 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조선 말까지 행해졌는데, 오늘날의 축구와 같은 것으로 일명 농주(弄珠) 또는 기구(氣毬)라고도 불리는 민속놀이이다.『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 의하면, “유신(庾信

  • 축산업 / 畜産業 [경제·산업/산업]

    가축·가금을 사육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사람에게 필요한 물질을 생산하고 그 생산물을 이용하는 산업. 식료품으로는 젖[乳]·고기[肉]·알[卵]·기름[脂肪]·꿀[蜂蜜] 및 여러 가지 내장(內臟) 등이 있고, 의류나 그 밖의 생활필수품을 공급하는 것으로는 양모(羊毛)·가죽[

  • 축산업협동조합 / 畜産業協同組合 [경제·산업/산업]

    양축가(養畜家)들이 협동조직을 육성하여 그들의 경제적·사회적 지위를 보호, 향상시키고 축산업의 진흥을 도모할 목적으로 설립된 협동조합. 1980년 말까지는 농업협동조합 산하의 특수조합으로 있었으나 1980년 말 농정대개혁(農政大改革)의 일환으로 <농업협동조합법>과 <축

  • 축성수 / 祝聖壽 [문학/고전시가]

    1429년(세종 11) 궁중에서 연향(宴享)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제작된 악장. 「가성덕」과 마찬가지로 중국에 대한 사대적인 측면에서 성수(聖壽)를 축원하는 노래다. 이로써 중국에 대한 사대정책의 일환으로 중국 사신이 조선에 오면 연향에서 사용된 악장 문학임을 알 수 있

  • 축약 / 縮約 [언어/언어/문자]

    두 음운이 하나로 합치거나 두 음절이 한 음절로 줄어드는 음운현상. 국어에서 ‘ㅂ, ㄷ, ㄱ, ㅈ’과 ‘ㅎ’이 만나면 이 두 자음은 하나로 줄어들어 ‘ㅍ, ㅌ, ㅋ, ㅊ’이 된다. 이것은 ‘ㅂ, ㄷ, ㄱ, ㅈ’에 ‘ㅎ’이 지닌 특성이 얹혀져 유기화(有氣化)되는 것으로,

  • 축원무가 / 祝願巫歌 [문학/구비문학]

    사실의 전달이나 대상의 묘사, 사물의 열거, 기원·훈계 등의 내용을 담고 있는 무가. 축원무가를 화자(話者)의 시점으로 나누면 신의 언어인 ‘공수’와 인간의 언어인 ‘비는 말〔祝願〕’로 대별된다. ‘공수’와 ‘비는 말’은 각각을 독립적으로 볼 때 축원무가라고 할 수 있

  • 춘고집 / 春皐集 [종교·철학/유학]

    송인의 문집. 석인본, 서:김동진(1950), 2권1책. 권1에는 시 92제와 서 13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2에는 제문 18편, 서 1편, 기 1편, 잠1편, 명 2편이 있으며,그 이하는 부록이다. 부록은 가장, 행장, 묘갈명, 만사, 제문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