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최희량 / 崔希亮 [종교·철학/유학]
1560(명종 15)∼1651(효종 3). 조선 후기의 무신. 아버지는 최영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에는 상중에 있었기 때문에 나아가 싸우지 못하였고, 1594년 무과에 급제한 다음, 당시 충청수사로 있던 장인 이계정을 돕도록 천거되어 선전관
추 / 追 [문학]
조선시대 한글편지 투식. 추신. 편지의 끝에 더 쓰고 싶은 말을 부기하는 방법.
추강냉화 / 秋江冷話 [문학/구비문학]
조선전기 문신 남효온이 시화(詩話)·일사(逸事) 등을 모아 엮은 수필집.한문수필집. 1책. 필사본. 저자의 문집인 『추강집』 권7에 수록되어 있으며 『대동야승』 권3에 발췌, 수록되어 있다. 66편의 이야기들로 조기종(趙起宗)·안응세(安應世)·고순(高淳)·홍유손(洪裕孫
추규영 / 秋圭映 [역사/근대사]
1901-1977.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관은 경상남도 부산(釜山)이다. 경상남도 부산 동래구(東萊區) 복천동(福泉洞) 동래고등보통학교(東萊高等普通學校: 현 동래고등학교)에서 수학하였다. 1919년 재학 중 독립만세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자 동학생 고영건(高永建
추길관 / 諏吉官 [과학기술/과학기술]
조선시대 양길의 선택을 맡았던 관상감의 직원. 처음에는 명과(命課)에 종사하는 사람을 모두 일관이라 해서 정원이 없었으나, 1791년(정조 24) 7인으로 정하고 추길관이라 했다. 직차법을 관장하는 수선관(修選官) 6인을 두고 크고 작은 선길을 서로 융통해서 맡아 관
추담집 / 秋潭集 [종교·철학/유학]
성만징의 문집. 8권 3책. 목활자본. 간행연대 미상. 권1은 시, 권2에서 권5까지는 100여명에 가까운 인물들에게 보냈던 간찰들이 수록, 권6은 기문과 제발, 권7은 잡저와 제문, 축문, 행장, 전, 잡기, 그리고 권8에는 부록으로 저자에 대한 묘표와 가장, 그리고
추득천 / 秋得千 [역사/근대사]
1895-1953.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충청남도 연기(燕岐)이다. 1919년 독립만세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자 같은 마을에 사는 박성교(朴聖敎)·이수욱(李秀郁)·추경춘(秋敬春) 등과 함께 독립만세운동을 벌이기로 결의하고, 비밀리에 태극기와 독립선언서를 준
추보관 / 推步官 [과학기술/과학기술]
조선시대 칠정산 내편의 추보를 맡았던 관상감의 직원. 추보란 천문을 관측하여 일월성신의 도수를 추정하는 것이다. 세종 때 황명대통통궤를 취하여 내편을 만들고, 또 회회 역법을 얻어 외편을 만들었다. 효종조에는 시헌력으로 고쳐 썼다. 그래서 삼력관은 시헌법을 관장하고,
추사 김정희 서신 / 秋史金正喜書信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후기 추사 김정희가 동생 김명희·김상희와 민태호 등 주변 인물에게 보낸 편지 모음. 추사 연구의 개척자 후지츠카 치카시[藤塚鄰, 1879~1948]가 수집하고 연구한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1856) 관련 자료 중 일부를 2006년 그의 아들 후지츠
추사가언간 / 秋史家諺簡 [언어/언어/문자]
추사 김정희를 중심으로 상하 5대에 걸쳐 쓰인 45건의 한글 편지.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1856) 가문에서 주고받은 현존(現存) 한글 편지 94건 중에서 추사가 쓴 40건을 제외한 45건의 한글 편지이다. 추사의 조모 해평 윤씨(海平尹氏, 17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