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최호양문록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작품의 머리에 ‘최호양문녹 권지단’으로 적혀 있는 것으로 보아 1권 분량의 작품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8면까지 작품이 계속되다가 중도에 그치고 「유씨삼대록」을 필사한 것이 연결되어 있어 작품의 전모는 확인하기 어렵다

  • 최호준 / 崔皓俊 [역사/근대사]

    1898-1945. 독립운동가. 황해도 재령 출신. 재령의 보명학교(普明學校)를 졸업하였다. 재령군일대의 궁장토(宮庄土)가 일제의 동양척식주식회사(東洋拓殖株式會社)로 넘어가 농민들이 소작농으로 전락하고 동양척식주식회사의 소작료착취가 강화되자, 나석주(羅錫疇)·김덕영(

  • 최호천 / 崔浩天 [역사/근대사]

    1899-1960.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경기도 시흥(始興)이다. 배재고등보통학교(培材高等普通學校: 현 배재고등학교)에서 수학하였다. 1919년 재학 중 전국적으로 독립만세운동이 확산되자 김인한(金仁漢)·유지호(柳志浩)·윤의병(尹宜炳)·이종원(李宗遠)·최정

  • 최홍전 / 崔弘甸 [종교·철학/유학]

    1636(인조 14)∼1702(숙종 28). 조선 후기의 문신. 사전 후손, 할아버지는 몽득, 아버지는 남진이다. 1679년(숙종 5)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각 조의 낭관 등을 역임하다가 1689년 기사환국 때 화를 당하여 관직을 버리고 향리에 돌아와 은거하였다

  • 최홍준 / 崔弘俊 [역사/근대사]

    1920-미상.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호는 소민(素民)이다. 출신지는 경상북도 영일(迎日)이다. 1940년 3월 신병으로 보성중학교를 휴학하고, 같은 해 9월 일본 동경으로 건너가 연수학관 영문과에서 수학하던 중 일본인들의 민족차별의식에 통탄하면서 경제력 향상·자

  • 최화무 / 催花舞 [예술·체육/무용]

    조선시대 순조 때 도입된 당악정재(唐樂呈才)의 하나. 죽간자(竹竿子)의 구호와 중무(中舞)의 치어(致語)로써 개장(開場)하고 수장(收場)한다. 협무창사(挾舞唱詞) 중 금도초전사(金刀初剪詞)는 「육화대 六花隊」의 이념사(二念詞)를 가져다 쓰고, 죽간자의 후구호(後口號)도

  • 최황 / 崔璜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유학자(1783∼1874). 벼슬은 의금부도사·면천군수 등을 역임하였다. 글씨에 능하였으며 시문에 조예가 깊었다. 저서로《구암부묵》·《제자초략》 등이 있다고 전한다.

  • 최효술 / 崔孝述 [종교·철학/유학]

    1786년(정조 10)∼1870년(고종 7).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식, 어머니는 정종로의 딸이다. 정종로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동래부사 이휘령, 어사 박규수와 임응준 등이 번갈아 천거하여 1860년(철종 11) 장릉참봉에 임명, 돈령부도정, 부호군에 이르렀다

  • 최효원증직교지 / 崔孝元贈職敎旨 [정치·법제/법제·행정]

    교지. 1734년(영조 10) 2월 18일 숙빈최씨의 부친 최효원(崔孝元)을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영의정겸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의 영사(領事)로 증직하는 교지이다.

  • 최흥원 / 崔興遠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05∼1786). 학행으로 천거되어 참봉이 된 후 세자익위사좌익찬에 이르렀다. 가난한 백성들을 위해 규약을 세우고 선공고·휼빈고 등을 두었다. 저서로는《백불암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