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고려식목형지안 / 高麗式目形止案 [역사/고려시대사]

    고려시대 식목도감에서 합의·결정된 내용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는 문서. 법안. 작성시기·체재·내용은 미상이다. 명칭을 볼 때 식목도감(式目都監)에서 합의, 결정된 내용을 정리해 기록한 문서로 추측된다.최초로 명칭이 나타난 기록은 『문종실록』으로, 1450년(즉위년) 1

  • 고려실록 / 高麗實錄 [역사/고려시대사]

    고려시대 에 편년체로 편찬된 역사서. 실록은 궁궐 내의 사관(史館)에 보관되어왔다. 1126년(인종 4) 이자겸의 난으로 궁궐이 불탈 때 직사관 김수자(金守雌)의 노력으로 실록이 건져졌다. 1227년『명종실록』을 편찬할 때, 해인사에 외사고를 지어 다른 한 부를 보관하

  • 고려오도양계도 / 高麗五道兩界圖 [지리/인문지리]

    고려시대 행정구역을 10도에서 5도양계로 개편한 후에 제작한 지도. 채색본. 세로 95.5㎝, 가로 49.5㎝. 고려시대 행정구역을 10도에서 5도양계로 개편한 뒤 제작한 고려의 행정구역도이다. 고려는 후삼국을 통일하였지만 지방에 버티고 있던 호족세력들을 완전히 억누르

  • 고려오층석탑 / 高麗五層石塔 [예술·체육/건축]

    부산광역시 동래구에 있었던 고려시대 에 제작된 석조 불탑.석탑. 시도유형문화재.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3호로 지정되었다가 2015년 7월 해제되었다. 금강공원 부근 개인 정원에 있었다.2층기단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갖춘 전형적인 고려석탑의 양식을 따르고 있으며

  • 고려육상경기회 / 高麗陸上競技會 [예술·체육/체육]

    1928년 서울에서 조직되었던 체육단체. 우리나라 최초의 육상경기 지도단체로 1928년 10월 31일 서울 종로 기독교청년회관에서 발기인대회를 가졌다.당시 발기인인 주흥근(朱興根)·최경락(崔慶洛)·노좌근(盧佐根)·마봉옥(馬鳳玉)·김동근(金東根)·박충근(朴忠根)·최희원(

  • 고려인정착촌 / 高麗人定着村 [사회/촌락]

    1990년대에 형성된 러시아 극동 지역의 새로운 고려인 거주지. 1991년에 소련이 해체될 즈음에 중앙아시아 지역에 거주하고 있던 고려인 가운데 일부는 극동 지역으로 이주하려고 하였다. 그들은 달라진 언어 환경의 변화와 체제 전환 속의 경제적 어려움, 그리고 계속된 민

  • 고려자기 / 高麗磁器 [예술·체육/공예]

    고려시대 때 제작된 자기.고려청자. 청자(靑磁)·백자(白磁)·흑유자(黑釉磁)·철유자(鐵釉磁) 등 고려시대에 제작된 자기를 일컫지만, 일반적으로는 고려청자를 지칭하는 말로 인식되어 왔다.고려도자 혹은 고려청자라는 용어는 민족항일기에 일본인 학자들이 우리 나라의 미술을 정

  • 고려장설화 / 高麗葬說話 [문학/구비문학]

    늙은 부모를 산 채로 버리던 악습이 없어지게 된 내력에 관한 설화. 설화는 고려장의 폐지라는 동일한 결말을 보여 주지만, 그 방법은 전혀 다른 양상을 띠고 있다. 앞 이야기가 아들의 불효를 강조하면서 손자의 지혜를 해결의 계기로 삼고 있는 것에 비하여, 뒤 이야기는 노

  • 고려족중앙총회 / 高麗族中央總會 [사회/사회구조]

    1917년 6월 니콜스크-우수리스크에서 이르쿠츠크 이동의 각지 대표 96명이 참가한 가운데 개최된 제1회 전로한족대표회의에 참가한 러시아 국적자 이주한인(원호인)들의 주도로 형성된 시베리아 임시정부 지지성향의 반볼세비키 성격 한인모임. 고려족중앙총회측에는 한족중앙총회

  • 고려주증 / 高麗主證 [종교·철학/천주교]

    중국인 예수회 신부 은정형이 샤를르 달레 신부가 편찬한 『한국천주교회사』 중 일부를 한문으로 번역하여 편집한 천주교서.역사서. 1900년 당시 중국에서 의화단(義和團)이 중심이 되어 일어난 대대적인 천주교 박해 때문에 전국의 성당이 파괴, 약탈, 방화되고 신자들이 무수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