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금향정기 / 錦香亭記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 필사본·목판본·활자본. 이 작품은 당나라 현종대의 역사적 사실을 배경으로, 허구적 인물인 남녀 주인공이 숱한 고난을 극복하고 그들의 애정의지를 실현해 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중국소설 「금향정(錦香亭)」과 그 구성이 일치하여 번안소
금헌악보 / 琴軒樂譜 [예술·체육/국악]
조선시대 작자 미상의 「세령산」·「가락환입」·「우락장리음」 등을 수록한 악보. 장사훈(張師勛)이 소장하였다가 청주대학교 운초자료관(云初資料館)에 기증하였다. 기보법이나 수록 악곡의 내용으로 보아 20세기의 악보로 추정된다. 수록악곡 중 앞부분의 「상영산(上靈山)」·「중
금호서원 / 琴湖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부호리에 있는 서원. 1684년(숙종 10)에 지방유림이 허조(許稠)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하양읍 금락동에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서사동으로 이건하고, 1790년(정조 14)에 ‘금호’라는 사액을 받아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금호유사 / 錦湖遺事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학자 나사침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39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5대손 두동(斗冬)이 편집, 1739년(영조 15) 간행하였다. 외현손 정중원(鄭重元)의 서문과 두동의 발문이 있다. 국민대학교 도서관에 있다.권1에 편년기략(編年紀略)
금호집 / 錦湖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허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9년에 간행한 시문집. 1939년 허형의 아들 허채(許埰)가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이강(李堈)·이대영(李大榮)·이덕응(李德應)·송성기(宋聖基) 등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허채의 후지가 있다. 권1·2는 시·서(書)·기·
금화 / 禁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한성부의 화재 예방과 화재가 발생했을 때 소화를 하기 위해 마련되었던 제도.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병조·의금부·형조·한성부·수성금화사(修城禁火司)·오부(五部)에서 당직하는 관원은 항상 순찰을 하였다.
금화도감 / 禁火都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전기에 방화업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한 한성부 소속의 관서. 1426년(세종 8) 2월에 금화도감을 설치하여 화재의 방지와 개천과 하수구의 수리 및 소통을 담당하게 하고, 화재를 이용한 도적들을 색출하게 하였다. 그 뒤 잠시 폐지되었다가 1481년(성종 12)
금화사몽유록 / 金華寺夢遊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한문필사본. 이 작품은 몽유소설로서 꿈을 꾸는 성허는 주인공의 입장에 서서 꿈 속의 세계를 전개시키는 것이 아니라, 꿈 속에 전개되는 세계를 방관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이 작품은 작자의 이상을 꿈을 빌려 표현한 것이 아니고
금화서원 / 金華書院 [교육/교육]
충청북도 보은군 삼승면 선곡리에 있는 서원. 1758년에 지방유생 강재문(姜在文) 외 105인이 발기하여 최운(崔澐)·성운(成運)·조식(曺植)·성제원(成悌元)·최흥림(崔興霖)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
금화유고 / 金華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이지백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2년에 간행한 시문집. 불분권 1책. 목활자본. 1852년 6대손 석효(錫孝)가 편집, 간행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시 144수, 장편시 11편, 부 2편, 잡저 2편, 상량문 2편, 모연수왕화신무대(毛延壽枉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