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지리 2,75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지리
  • 연화산 / 蓮花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장진군 북면·상남면·동하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2,355m. 우리 나라에서 열번째로 높은 산이지만, 높은 부전고원(赴戰高原)의 북쪽에 자리잡고 있어 두드러지지는 않는다. 산 전체는 화강편마암(花崗片麻岩)으로 덮인 기반 위에 활엽수와 침엽수의 혼합림이 우거져

  • 연화산 / 蓮花山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고성군 개천면·영현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524m. 태백산맥의 최남단 여맥에 위치한 산이다. 이 산을 중심으로 크게 동서 방향의 능선과 남북 방향의 능선이 교차하는데, 시루봉(542m)에서 연화산 정상을 거쳐 백련암(白蓮庵)에 이르는 능선은 대개 영현면과

  • 연화산도립공원 / 蓮花山道立公園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고성군 개천면, 영현면, 대가면에 걸쳐 있는 연화산(蓮花山, 524m)을 중심으로 지정된 도립공원. 연화산은 선유봉, 옥녀봉, 탄금봉 등 10여 개의 산봉우리가 심산유곡의 형상을 이루고, 계곡에는 맑고 깨끗한 물이 사시사철 흘러 내린다. 연화팔경의 절경지 등이

  • 연화산맥 / 蓮花山脈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북서부 개마고원의 서부를 남북으로 이어져 있는 산맥. 연화산(蓮花山, 2,355m)을 주봉으로 장진군과 신흥군에 걸쳐 있다. 함경남도는 부전령산맥(赴戰嶺山脈)이 북동∼남서방향으로 달리는데, 동해 쪽으로 단층산맥의 급사면을 이루며 내륙쪽으로는 북쪽으로 완만히 기

  • 연화열도 / 蓮花列島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통영시 욕지면의 연화도 주변에 있는 열도. 미륵도(彌勒島)와 욕지도(欲知島) 사이에 위치한다. 연화도(蓮花島)를 비롯하여 우도(牛島)와 그밖에 수 개의 작은 무인도 및 암초들로 구성된다. 우도를 기점으로 북서에서 남동으로 일렬로 산재하는 연화열도는 소백산맥의

  • 연화제2광산 / 蓮花第二鑛山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삼척시 가곡면 풍곡리에 있었던 광산. 영동선 석포역에서 북동쪽으로 8㎞ 가량의 거리에 있으며, 납·아연·금·은·구리·망간 등을 채굴한다. 1960년에 광업권이 등록되었으나 1970년에 본격적으로 개발되었다. 부근의 지질은 함백향사부(咸白向斜部)의 동단부에 속하며

  • 열산 / 烈山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고성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승산현(僧山縣, 또는 所勿達縣)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에 동산(童山)으로 고쳐 수성군(守城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그 뒤 고려 때 열산(烈山)으로 고쳐 간성군에 예속시켰다. 조선시대에는 간성과 고성을 잇는 해안도로가

  • 열수 / 洌水 [지리/자연지리]

    대동강의 고조선 때의 이름. 문헌상에는 한나라의 양복(楊僕)이 수군(水軍) 7,000명을 거느리고 열수로 들어와 왕검성(王儉城)을 공략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고구려 때는 패강(浿江)이라 하였고 고려 중기 이후부터 대동강(大同江)이라고 칭하였으며 대통강(大通江)이라는 칭

  • 염례국 / 稔禮國 [지리/인문지리]

    가야연맹의 소국. 염례국은 『일본서기(日本書紀)』 긴메이기(欽明紀) 23년(562)조에 신라에 의하여 멸망되었다고 나오는, 이른바 임나(任那) 10국 중의 하나로서 그 이름이 전할 뿐이다. 염례국의 위치에 대해서는 이를 임나의 발음과 연관시켜 경상남도 김해로 비정하는

  • 염로국 / 冉路國 [지리/인문지리]

    삼한시대 마한의 소국. 마한 54소국 중의 하나이다.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동이전(東夷傳)의 한전(韓傳)에는 삼한의 여러 소국의 이름이 열거되어 있는데, 그 나라 이름들의 한자표기는 우리말의 이름을 당시의 중국 상고음(上古音)에 따라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페이지 / 276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