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최영 / 崔瑩 [종교·철학/유학]
1316년(충숙왕 3)∼1388년(우왕 14). 고려 후기의 명장. 최유청의 5세손, 아버지는 최원직이다. 육도도순찰사, 판삼사사, 철원부원군, 문하시중, 판문하부사, 팔도도통사 등을 역임하였다.
최영걸 / 崔英傑 [역사/근대사]
미상-1921. 독립운동가. 함경남도 온성 출신. 3·1운동이 일어나자 만주로 망명하여 대한군정서(大韓軍政署)에 가입, 활동하였다. 1920년 9월 노령(露領)으로 옮겨 그곳 시지미에 있는 강용궁(姜龍宮)의 집에서 김학섭(金學燮)·강병관(姜秉官)·최시능(崔時能)·문창학
최영년 / 崔永年 [문학/한문학]
일제강점기 국민신보 사장, 조선문의 주필 등을 역임한 언론인.친일반민족행위자. 신소설 『추월색(秋月色)』의 작가인 최찬식(崔瓚植)이 아들이다. 1897년 고향인 경기도 광주에 사립 시흥학교(時興學校)를 설립해서 신교육보급에 앞장섰다. 1904년 일진회(一進會)에 가입하
최영록 / 崔永祿 [종교·철학/유학]
1793년(정조 17)∼1871년(고종 8). 조선 후기 성리학자. 최흥효의 후손, 고조는 최징조, 증조는 최기중, 조부는 최지해이다. 부친 최성한과 모친 손회경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홍여하의 현손녀이다. 자기 수양과 학문 연구에 전념하였다. 이황과 정구의
최영의 / 崔永宜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국제가라테연맹총재를 역임한 체육인. 전라북도 김제 출생. 아버지는 최승현(崔承泫)이며 4남으로 태어났다. 그가 창설한 극진가라데(極眞空手)는 일본에서 시작되었지만 지금은 세계 각지로 발전하여 세계 130개국, 1200만 명의 회원을 가지고 있으며 일본에만 5
최영장군설화 / 崔瑩將軍說話 [문학/구비문학]
고려 말기의 명장 최영에 관한 설화. 최영은 무장으로서 수많은 왜구의 침입을 격퇴하고 간신의 발호를 징치한 인물로서, 그의 행적은 『고려사』 열전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이같은 최영장군의 실제 행적과는 다른 설화가 세간에 전승되는데, 인천광역시 강화군과 강원도 영월군
최영하 / 崔榮夏 [정치·법제/외교]
1854-?. 대한제국 외부협판. 철도원부총재. 1887년 3월 육영공원 사첨으로 관직생활을 시작하였다. 궁내부 시종원의 주임관 벼슬인 시종으로서 어복과 어물에 관한 일을 맡아보았다. 1899년 2월 농상공부협판으로 칙임관 3등에 서임되었고, 이후 외부협판과 한성부판윤
최예분 / 崔禮分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중요무형문화재 제12호 「진주검무」 전승자로 지정된 기예능보유자.무용가. 중요무형문화재 제12호 「진주검무」 기예능 보유자. 진주검무 장단과 무용을 특기로 하였다. 1926년 제일보통학교를 졸업하였고 15세에 진주에서 최완자로부터 진주검무의 장단과 무용을 전
최용건 / 崔庸健 [정치·법제/정치]
1925년∼1976년. 군인·정치인. 평안북도 태천 출신. 1925년 중국 윈난군관학교 졸업, 황푸군관학교에서 교관으로 재직. 1936년 동북항일연합군 제7군단장, 제2로군참모장으로 항일무장투쟁에 참가. 광복 후 평안남도 자치준비위원회 중앙위원으로 출발, 북한군 총사령
최원정화풍남태설 / 崔猿亭畵諷南台說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한문 필사본. 구 김동욱(金東旭) 소장의 『고소설(古小說)』 속에 실려 있는 작품이다. 이 책에는 네 편의 단편들이 있는데 이 작품은 그 첫머리에 실려 있다. 최원정의 이름은 수성(壽城)이고, 원정은 그의 별호다. 작품의 말미에 원정이 놀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