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최승일 / 崔承一 [예술·체육/연극]
1901-미상. 일제 강점기 작가·연극인. 아호는 추곡(秋谷). 출생지는 서울이다. 부친 최준현(崔濬鉉)과 모친 박성녀(朴容子)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동생으로 고전무용가 최승희(崔承喜)가 있다. 일본 유학 시절부터 프로문학과 연극활동에 관심을 기울이던 중 19
최승희 / 崔承喜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북한에서 조선무용가동맹위원장, 무용학교교장, 최승희무용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한 무용가. 1911년 강원도 홍천에서 출생했다. 최준현(崔濬鉉)의 딸이며, 어머니는 박용자(朴容子)이다. 영화제작자 최승일(崔承一)의 동생이다. 1926년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를 졸업
최승희무용연구소 / 崔承喜舞踊硏究所 [예술·체육/무용]
최승희가 평양에 설립한 무용인재 양성 기관. 1946년 설립 초기에는 3개월마다 면접과 실기시험을 통해 연구생을 모집했고, 그 후에는 반년을 1기로 30명씩 1년에 60명의 젊은 무용지망자를 받아들였다. 초기에는 모집광고를 학교, 예술단체에 배포했으나, 이후에는 아시아
최시형 / 崔時亨 [종교·철학]
조선 후기의 동학인·교주(1827∼1898). 1861년(철종 12)에 동학에 입문하여 1863년 동학 2대 교주가 되었다. 1892년부터 합법적으로 교조의 신원 운동을 전개하다 1894년 전봉준을 주축으로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나자 호응하여 무력투쟁을 전개하였다. 18
최시흥 / 崔時興 [역사/근대사]
미상-1925. 독립운동가. 평안북도 의주 출신. 삭주에서 마부(馬夫)로 있다가 독립운동에 투신하였다. 3·1운동이 일어나자 최주천(崔柱天)·박응백(朴應伯) 등과 함께 천마산(天摩山)을 근거로 천마산대(天摩山隊)를 조직, 500여명의 청년을 규합하여 의주·구성·삭주·창
최신 / 崔愼 [종교·철학/유학]
1642(인조 20)∼1708(숙종 34). 조선 후기의 문신. 송시열의 문인이다. 1675년(숙종 1)송시열이 제2차 복상문제에서 남인에게 패하고 유배되자, 이에 반대하는 유필명의 소문이 올려졌는데 그 소문의 작성자로 지목되어 사천으로 유배되었다. 이후 풀려나와 사옹
최신선영사전 / 最新鮮英辭典 [언어/언어/문자]
1928년 김동성(金東成)이 편찬한 한영사전. 조선어 표제어를 한글 자모순서(가~하)에 따라 배열한 후, 이에 대응하는 영어를 간단한 주석의 형식으로 배열한 사전으로 전체 1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사전은 한국인이 편찬한 최초의 한영이중어사전이라는 점과 한국어를 영어
최양 / 崔瀁 [종교·철학/유학]
1351(충정왕 3)∼1424(세종 6). 고려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지, 어머니는 정운관의 딸이다. 외삼촌 정몽주에게 수학, 1376년(우왕 2) 문과에 급제하여 이부상서·대제학 등을 지냈다. 1384년 예문관직제학에 재임할 때 이성계를 도와 서북면 정벌에 참여하였
최양업 / 崔良業 [종교·철학/천주교]
조선 후기의 천주교인·신부(1821∼1861). 1837년 김대건·최방제와 함께 조선인 신학생으로 선발되어 마카오에서 신부수업을 받고, 1849년 상해에서 사제 서품을 받고 귀국하였다. 김대건이 1846년에 순교한 후에 유일한 조선인 신부로서 전교에 힘쓰다가 과로와
최여봉 / 崔汝鳳 [역사/근대사]
1900-1970.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사회주의운동가. 다른 이름은 최여봉(崔如鳳)·최해봉(崔海鳳)이다. 본적은 경상남도 김해(金海)이다. 1926년 6월 김행청년회 발행의 벽신문 《청뢰(晴雷)》의 편집위원, 같은 해 12월 김해청년회 야학부위원직, 1927년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