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최석항 / 崔錫恒 [종교·철학/유학]
1654(효종 5)∼1724(경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최기남 증손, 할아버지는 최명길, 아버지는 최후량, 어머니는 안헌징의 딸이다. 최후원에게 입양되었다. 최석정의 아우이다. 1680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문관검열, 경상도관찰사, 이조판서, 좌의정을 역임
최석호 / 崔碩鎬 [역사/근대사]
1893-1970. 독립운동가. 일명 문석(文錫, 文碩)·문일(文一). 경상남도 합천 출신. 1916년 만주로 건너가 독립군 간부양성기관인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에서 군사훈련을 수료하였다. 1919년 3·1운동과 보조를 맞추어 간도 용정(龍井)에서 만세시위를 주도
최성모 / 崔聖模 [역사/근대사]
1873-1936. 항일기의 독립운동가. 서울 협성신학교를 졸업하고 북감리교 목사가 되어 해주 남본정(南本町)교회에서 교역생활을 하였다.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독립선언서에 서명하는 등 민중교화사업과 전도사업을 통하여 계속적인 독립운동을 하였다.
최성환 / 崔瑆煥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고종 때 중추부 전행도사를 지내고, 이후 선략장군에 봉해졌다. 아들로 최규집이 있는데, 그는 1859년(철종 10)에 증광 생원 3등으로 합격하였다. 《효경대의》, 고래 군신의 선악 중 경계로 삼을 만한 것을 모아《고감》이라 하였다. 이에 임금이 《효경
최세득 / 崔世得 [역사/근대사]
1921-미상. 광복군. 일명 왕세일(王世一). 평안남도 대동 출신. 1943년 중국 가이펑(開封) 지구에서 광복군 특파원 장호강(張虎崗)과 접선하여 광복군 제3지대에 입대하였다. 그뒤 가이펑 지구에서 지하활동을 전개하여 초모·선전·첩보 활동을 하였으며, 광복이 되자
최세욱 / 崔世郁 [역사/근대사]
1883-1939. 독립운동가. 일명 우화(宇和). 황해도 재령 출신. 보명학교(普明學校)를 졸업하고 동창인 나석주(羅錫疇)·김덕영(金德永)·최호준(崔皓俊) 등과 함께 3·1운동에 참여하였다. 주에 본부를 둔 한족회(韓族會)에 가입하였으며, 1919년 김덕영을 상해(上
최수 / 崔琇 [종교·철학/유학]
?∼1424(세종 6).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고려 우왕 때 문과에 급제, 1392년(공양왕 4) 예조총랑이 되었으나 정몽주의 일당으로 몰려 직첩을 빼앗기고 곤장 70도를 맞은 뒤에 원지로 유배되었다가 조선이 개국되자 곧 풀려났다. 1413년 순금계획을 상서하여
최수봉 / 崔壽鳳 [역사/근대사]
1894-1921. 독립운동가. 일명 경학(敬鶴). 경상남도 밀양 출신. 밀양의 사립 동화학교(同和學校)에 들어갔으나 일제의 강압으로 폐교되자, 1912년 동래 범어사 안에 있는 명정학원(明正學院)을 졸업하고 1913년 평양 숭실학교(崇實學校)에서 수업하다가 중퇴하였
최순탁 / 崔淳鐸 [역사/근대사]
1892-1926. 독립운동가·사회운동가. 함경남도 함흥 출신. 1918년 함흥고등학교·함흥농업학교·영생중학교의 3·4학년 학생들로 구성된 함산학우회(咸山學友會)를 조직하였다. 이듬해 3·1운동이 일어나 함흥에 독립선언서가 전달되자, 함산학우회 동지들과 3월 3일 함흥
최승우 / 崔昇羽 [종교·철학/유학]
1770년(영조 46)∼1841년(헌종 7). 조선 후기 문신·유학자. 최심의 후손, 고조는 최체건, 증조는 최두추, 조부는 최수인이다. 부친 최광익과 모친 이지빈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김몽채의 딸이다. 숙부의 문하에서 수학, 과거 공부에 힘썼다. 18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