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최산두 / 崔山斗 [종교·철학/유학]

    1483(성종 14)∼1536(중종 31).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한영, 어머니는 한경회의 딸이다. 김종직·김굉필을 사숙하였다. 18세에 상경하여 조광조·김정·김안국 등과 교유하니 당시 사람들이 ‘낙중군자’라 하였다. 1513년(중종 8)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 최상국집 / 崔相國集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문인 최자의 시가와 산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최자의 문집명이 『최상국집(崔相國集)』으로 기록된 예는 『해동문헌총록』의 「제가시문집(諸家詩文集)」에 보인다. 8권이라고 되어 있다. 또한 『고려사』 권102 「최자열전」에는 “가집(家集) 10권이 세상에 전한다.

  • 최상익 / 崔商翼 [종교·철학/유학]

    1631(인조 9)∼1699(숙종 25). 조선 후기의 문신. 확 증손, 할아버지는 몽열, 아버지는 순이다.1660년(현종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지평, 장령, 배천군수, 충청도관찰사를 역임하였다.

  • 최상중 홍문관교리 해유문서 / 崔尙重 弘文館校理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해유문서. 1602년(선조 35) 1월 11일 홍문관에서 호조 낭청으로 문서를 이관, 다음날 호조에서 이조로 문서를 이관하였다. 최상중(崔尙重)은 최항(崔恒)의 6세손으로 최영(崔潁)의 아들이다. 1601년(선조 34) 10월 22일에 홍문관 교리로 임명되었고, 160

  • 최생우진기 / 崔生遇眞記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신광한(申光漢)이 지은 한문소설. 「최생우진기」는 삼척의 두타동천(頭陀洞天) 무릉계곡을 배경으로 주인공 최생의 신선체험을 허구화한 것이다. 「최생우진기」는 『금오신화』의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과 흡사하다. 「용궁부연록」에서는 천마산(天磨山)의 용추(龍湫

  • 최서경 / 崔曙卿 [역사/근대사]

    1902-1955년.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다른 이름은 최서경(崔曙敬)이다. 본적은 평안북도 운산(雲山)이다. 중국 상해(上海)로 이주하여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 산하 애국부인회(愛國婦人會)에 가담하였다. 이 모임에서 대한민국 임시 정부 정책과 노선을 지지하였으며

  • 최서해 / 崔曙海 [문학/현대문학]

    1901-1932년. 소설가. 본명은 학송(鶴松), 아호는 서해(曙海)·설봉(雪峰) 또는 풍년(豊年). 함경북도 성진에서 소작농의 외아들로 출생하였다. 1910년 아버지가 간도 지방으로 떠나자 어머니의 손에서 유년시절과 소년시절을 보내었다. 유년시절 한문을 배우고 성

  • 최석봉 / 崔石奉 [역사/근대사]

    1880-1951.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전라북도 순창군(淳昌郡) 동계면(東溪面)이다. 1909년 4월 의병장 김동구(金東九) 의진(義陳)에 참가하여 박치근(朴致根)·한자선(韓子先)·박화숙(朴化淑) 등 동지 11명과 함께 순창·임실(任實)·남원(南原) 일대

  • 최석정 / 崔錫鼎 [종교·철학/유학]

    1646(인조 24)∼1715(숙종 41).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기남 증손, 할아버지는 명길, 아버지는 후량이다. 어머니는 안헌징의 딸이다. 응교 후상에게 입양되었다. 남구만·이경억의 문인, 박세채와 교유하였다. 1671년 정시문과 병과로 급제, 이조판서, 우의정

  • 최석준 / 崔錫濬 [역사/근대사]

    1891-1922. 독립운동가. 일명 석준(錫俊)·석유(錫濡). 평안북도 삭주 출신. 1919년 3·1운동 당시 상경하여 평안북도 삭주군과 창성군의 거사를 종용받고 이 일대에서 만세시위를 주도하다가 수배를 받자 만주로 건너가 관전현(寬甸縣)을 근거지로 삼고 동지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