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고려문화중앙 / 高麗文化中央 [사회/사회구조]
소련말기 소련 각지의 지역단위에서 형성되기 시작한 고려인 문화자치 단체이며, 고려인협회의 지방조직 명칭. 소련말기 개별 공화국의 지방 가운데 특히 고려인들이 많이 모여사는 지역에서 당시 소련사회에서 개별 민족단위 민족정체성 회복 노력이 확산되고 있었는데, 이의 일환으로
고려사가 / 高麗寺歌 [문학/고전시가]
1925년에 발표된 김문세(金文世, 1894∼1926)의 장편 창가. 『불교』 제8호(1925.2)에 국한문 혼용체로 수록되어 있다. 김추계(金秋溪)가 창작한 작품을 김소원(金素園)이 초록하여 투고한 것이다. 추계는 김문세의 호이다. 그는 1919년 3·1운동에 참여한
고려사전문 / 高麗史全文 [역사/고려시대사]
조선전기 문신 신개·권제 등에 의해 찬진된 편년체의 고려 역사서. 편찬동기는 1432년 세종이 경연에서 “『고려사』가 종(宗)을 왕으로 고쳐 써서 그 진실을 잃은 것이 많으니 『태종실록』이 끝나는 대로 『고려사』를 개수하고 싶다.”는 데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본격적인
고려사절요 / 高麗史節要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편년류(編年類) 김종서(金宗瑞) 등 봉교찬, 조선사편수회 편, 영인본, 1932, 32권 24책. 김종서 등 춘추관에서 1452년(문종 2)에 편성한, 고려사(高麗史)이다. 경성제국대학장구규장각본 을해자 잔존본 32권(전35권)을 조선총독부 조선사편수회
고려사절요(갑인자본) / 高麗史節要 [역사/고려시대사]
1452년 김종서 등이 『고려사』를 저본으로 찬수한 편년체 역사서. 1452년(문종 2)에 김종서(金宗瑞) 등이 왕명을 받고 『고려사(高麗史)』를 저본으로 내용을 축약하여 5개월 만에 찬수(纂修)한 편년체 역사서이다. 2010년 12월 8일에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45
고려사절요보간 / 高麗史節要補刊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편년류(編年類) 춘추관(春秋館) 봉명찬, 조선사편수회편, 영인본, 1938, 3권 4책. 1452년(문종 2) 문종의 명으로 김종서, 정인지 등이 1451년(문종 1)에 편성한 기전체인《高麗史》를 요약, 증교하여 1453년에 인출한 책을 조선총독부 조선
고려산원통암감로왕도 / 高麗山圓通庵甘露王圖 [예술·체육/회화]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국화리 원통암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 1907년 작.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113㎝, 가로 174㎝. 19세기 중엽 이후 경기도 지역 감로왕도의 도상을 기본으로 하면서 일부 도상을 생략하여 축소된 도상을 표현하였다. 상단의 중앙에는 합장을
고려성산산성 / 高麗城山山城 [예술·체육/건축]
중국 요령성 대련시 보란점시(普蘭店市) 묵반향 마둔촌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석축 성곽.산성. 마둔촌의 서쪽에 있는 고려성산에 있다. 고려성산산성이라고 칭하는 산성이 다수 있기 때문에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마둔고려성산산성(馬屯高麗城山山城)’이라고도 부른다.성벽은 자
고려성자산성 / 高麗城子山城 [예술·체육/건축]
중국 요령성 개현(蓋縣)에 있는 삼국시대 포곡식으로 축조된 고구려의 성곽.산성. 개주시 동북 7km의 청석령향(靑石嶺鄕) 고려성자촌(高麗城子村) 동쪽의 석성산(石城山)에 위치한다. 청석령산성(靑石嶺山城) 혹은 고려성산산성(高麗城山山城)이라고도 부른다.석성산은 산세가 험
고려시 / 高麗詩 [문학/한문학]
고려 문종 때 송(宋)나라에 사신으로 간 문인들이 지은 시문집(詩文集). 『고려시(高麗詩)』에 대한 기록은 『해동문헌총록』의 「제가시문집(諸家詩文集)」에 보인다. 이에 따르면, 송(宋)나라 마단림(馬端臨, 1254~1323)이 편찬한 『문헌통고(文獻通考)』에 3권이 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