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총 3,38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신계향교 / 新溪鄕校 [교육/교육]
황해도(현재의 황해북도) 신계군 신계면 향교리에 있는 향교. 1530년(중종 25)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당시의 경내 건물로는 3칸의 대성전을 비롯하여 10칸의 명륜당과 동재(東齋)·서재(西齋)·동무(東廡)·
신권 / 愼權 [종교·철학/유학]
1501년(연산군 7)∼1573년(선조 6) 12월 23일. 선교랑 훈도를 지냈다. 아내는 임득번의 딸이다. 구암 이정, 갈천 임훈과 여러 날 학문을 강마하다가 더러는 시를 주고 받기도 하였다. 인조 연간에 후손 신경직이 성팽년의 후손 성경창 등과 함께, 신권이 154
신길원 / 申吉元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열사. 1592년(선조 25) 4월 임진왜란 당시 문경현감으로 있었는데, 왜군이 관내에 쳐들어 오자 관병 수십 명을 이끌고 관아를 지키며 결사적으로 항전하였다. 중과부적으로 왜병들에게 밀려 조령을 향하여 후퇴하였으나 20여 명의 부하들과
신녕 / 新寧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신라의 사정화현(史丁火縣, 또는 花山)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신녕으로 고쳐 양주(良州) 소관의 임고군(臨皐郡)의 영현으로 삼았다. 1018년(현종 9) 경주부(慶州府)의 임내가 되었으며, 1390년(공양왕 2) 감무를 두
신도가 / 新都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초기에 정도전(鄭道傳)이 지은 송도가(頌禱歌). 가사는 『악장가사』에 실려 있다. 창작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한양으로 천도한 태조 2년(1393)에서 태조 3년 사이로 추정된다. 내용은 신도읍(漢陽)의 형승(形勝)과 그 미성(美盛)함을 노래하고, 조선 태조의 성수
신도비명 / 神道碑銘 [문학/고전산문]
조선 태종(太宗) 헌릉(獻陵)의 신도비명. 앞면 첫째 행에는 '유명증시 공정 조선국 태종 성덕신공 문무광효대황 헌릉 신도비명(有明贈諡恭定朝鮮國太宗聖德神功文武光孝大王獻陵神道碑銘) 병서(幷序)'라 새겨 있다.
신량역천 / 身良役賤 [사회/사회구조]
양인 신분이면서 천역에 종사하던 부류. 중앙 관서 및 종친·관리들에게 배속되어 수종·호위·사령 등 잡역에 종사하는 조례, 중앙의 사정 및 형사 업무를 맡은 관서에 소속되어 경찰·순라·옥지기 등 잡역에 종사하는 나장, 조운에 종사하는 조졸, 봉수대 위에서 기거하며 후망
신력탄 / 新曆嘆 [문학/한문학]
조선 전기에 어무적(魚無迹)이 지은 한시. 천년에 한 번씩 꽃이 피고 질 만큼 세월의 흐름이 지체되어, 요순과 같은 고대의 이상적 군주가 오늘의 사회를 아직도 다스리고 있었으면 하는 소망을 나타낸 시이다. 7언 16구로, 『속동문선(續東文選)』 권5에 전한다. 1∼4구
신립 / 申砬 [종교·철학/유학]
1546(명종 1)∼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무신. 개 현손, 할아버지는 상, 아버지는 화국이다. 어머니는 윤회전의 딸이다. 무과에 급제 선전관·도총관·도사·경력, 외직인 진주판관, 함경도남병사, 삼도순변사 등을 역임하였다. 고니시(小西行長)를 선두로 한
신명인 / 申命仁 [종교·철학/유학]
1492(성종 23)∼? 조선 전기의 문신. 숭겸 후손, 김식의 문인이다. 1519년(중종 14)에 기묘사화가 일어나자 이약수·박광우 등과 함께 성균관유생 등 1,000여 명을 이끌고 광화문에 집결하여 조광조 등 사림파의 구명을 위하여 상소하였고, 대궐에 돌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