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송병순 / 宋秉珣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순국지사(1839∼1912). 송시열의 9세손으로 을사조약에 반대해 순절한 병선의 아우이다. 1865년 서원철폐령에 반대해 상소했으며 동학군이 봉기하자 향약을 보급해 향인을 교화했다. 1905년 형 병선이 자결하자 구국활동을 결심하고 ‘토오적문’을 지어

  • 송병준 / 宋秉畯 [정치·법제/정치]

    항일기의 친일 반민족자(1858∼1925). 1884년 갑신정변 후 일본에 망명중인 김옥균을 암살하려고 밀령을 받고 도일하였다가 도리어 그의 인품에 공명하여 동지가 되었다. 노다(野田平次郞)라는 일본이름으로 개명하고, 그뒤 이완용과 결탁하여 농상공부대신·내부대신·중

  • 송설당집 / 松雪堂集 [문학/한문학]

    조선 말기의 교육자·시인 최송설당(崔松雪堂)의 시문집. 3권 3책. 석인본. 1922년 최홍렬(崔鴻烈)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윤식(金允植)의 서문과 저자의 자서가 있으며, 권말에 곽윤(郭奫)·최홍렬의 발문이 있다. 권1에 한시 200여수, 권2에 국문시가 60

  • 송영찬 / 宋榮璨 [역사/근대사]

    1898년(광무 2) 7월 2일~1966년 8월 25일. 일제 강점기 항일운동가. 1919년 3월 1일 경성의학전문학교 4학년생으로 서울에서 독립만세를 제창, 3월 5일 제2차 학생시위에 참가하여 독립만세를 외치다가 출판법 및 보안법 위반 혐의로 22세에 체포되어 경성

  • 송와유고 / 松窩遺稿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학자 최찬(崔纘)의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이 책은 1919년 4대손 정섭(鼎燮)·용섭(鏞燮)과 5대손 평(坪)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평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272수, 권2에 잡저 2편, 가장 1편, 행적 1편,

  • 송인박 / 宋寅鏷 [종교·철학/유학]

    1861-1945. 고조는 희윤, 증조는 상근, 조는 심환이다. 어려서 족조인 송운찬에게 나아가 운찬의 아들 재관과 함께 수학하여 경사를 익히고, 시재가 있어서 권상한으로부터 당인의 풍조가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선배인 김노수, 권세연, 신석정, 김동진등과 교의가 있었

  • 송주환 / 宋胄煥 [종교·철학/유학]

    1870(고종 9)∼1954. 증조부는 택엽, 조부는 홍건이다.아버지는 진극은 저자를 임신한지 3달 만에 죽었으며, 어머니는 김영간의 딸이다. 서산 김흥락의 문하에 나아가 대학 의 격물치지·성의정심·수신제가·치국평천하를 진정한 문로로 삼아 복응하였다. 한국전쟁을 겪으면

  • 송준필 / 宋浚弼 [종교·철학/유학]

    1869년(고종 6)∼1943년. 조선 말기의 도학자. 기선의 아들이다. 이진상의 강학에 참석하였고 18세 때부터 장복추의 문하에서 배웠고, 뒤에 김흥락의 문하에서 배우기도 하여, 당시 영남의 석학들 문하에 폭넓게 내왕하며 수학하였다. 성리설의 학통에서 이상정을 중시

  • 송진우 / 宋鎭禹 [교육]

    항일기의 교육가·언론인·정치가(1890∼1945). 중앙중학교의 교장으로서 학생들에게 민족의식을 불어넣었다. 동아일보사가 주식회사로 개편되자 사장에 취임, 이후 30여 년 간 사장·고문·주필 등을 역임하면서《동아일보》를 민족의 대변지로 이끌었다. 8·15광복 후 우

  • 송천집 / 松川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 김천일의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김천일의 5대손 김택락이 유고를 수집, 1901년 9대손 김봉채·김용채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장복추의 서문, 권말에 곽종석·윤주하·김용채 등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132수, 부 1편, 송 2편,

페이지 / 390 go